금리 인상·공사비 급등, 건설사 법정관리 확산의 주범
중소건설업체 미수금 4배 증가… 대기업보다 더 심각

건설현장의 타워크레인. (출처 연합뉴스)
건설현장의 타워크레인. (출처 연합뉴스)

[천지일보=이우혁 기자] 금리 인상과 공사비 급등으로 국내 건설업계가 최악의 위기를 맞고 있다. 중소건설업체들의 법정관리 사례가 늘어나며 ‘4월 위기설’이 현실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는 건설경기 부양을 위한 대책을 내놨지만 실질적인 효과를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20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건정연)의 ‘3월 건설 BRIEF’에 따르면 국내 건설업계가 ‘4월 위기설’에 휩싸였다. 금리 인상과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인해 건설사들의 이자 부담이 3배 증가했고, 미수금이 누적되면서 업계 전반이 흔들리고 있다. 특히 중소건설업체들의 미수금은 4배 이상 급증하며 법정관리 신청이 속출하고 있다.

건설업체들의 평균 유동비율은 1.49, 당좌비율은 1.30 이하로 떨어지며 안정권을 이탈했다. NICE신용평가정보에 따르면 2023년 건설 외감기업들의 평균 이자보상배율은 1.0 이하로 추락해, 벌어들인 돈으로 이자도 감당하지 못하는 한계기업이 속출하고 있다.

공사비도 급등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건설공사비 지수는 15.1%, 2023년에는 10.9%, 2024년에는 11.0% 상승하며 분양가 인상을 부추겼다.

특히 대기업들의 미수금 증가율이 2배 미만이었던 반면, 중소건설업체들은 4배 이상 급증하며 유동성 압박이 극심해졌다. 중소업체들은 지난 2022년부터 영업이익률이 적자를 기록하며, 정상적인 영업활동만으로는 이자비용과 미수금을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SOC 재정 집행 확대, 미분양 주택 매입, 공사비 현실화 등의 대책을 발표했지만, 대형 건설사 중심의 지원으로 중소업체들은 혜택을 받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건정연은 “현 위기는 단순한 경기 침체가 아니라 산업 구조 자체가 흔들리는 문제”라며 “정부는 중소업체 금융지원 확대와 공공 프로젝트 참여 기회 보장을 포함한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건정연은 “‘건설업 4월 위기설’은 다소 과장됐지만 최악으로 급격하게 진행중인 상황”이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건설산업의 최악은 아직 도래했다고 보기는 어려우나, 현재의 상황이 1년 이상 지속되면 과거 IMF금융위기, 글로벌금융위기에 준하는 불황이 올 가능성은 다분하다”고 제언했다.

이어 “지난 서브프라임 사태 발발 이후 4~5년이 지난 시점에 건설업 위기가 극대화된 것을 감안하면 2022년부터 시작된 건설업 위기는 금년 또는 내년에 불황의 정점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