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명 중 2명은 5년 넘게 생존
[천지일보=장수경 기자] 지난 5년간 암환자의 상대생존율이 70%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암 환자 3명 중 2명은 5년 이상 생존한다는 말이며, 사실상 완치됐음을 의미한다.
22일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와 중앙암등록본부(국립암센터, 원장 이강현)는 국가암등록통계사업에 따른 우리나라 국민의 2013년 암발생률, 암생존율 및 암유병률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9~2013년 암환자 5년 생존율은 69.4%로 나타났다. 이는 2001~2005년 53.8%에 비해 15.6% 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5년 상대생존율은 암환자와 같은 연령대 일반인의 생존율을 비교한 수치를 말한다. 상대생존율이 100%라면 일반인의 생존율과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5년 생존율이 가장 높은 암은 갑상선암(100.2%)으로 나타났다. 갑상선암에 걸린 사람이 비환자보다 오히려 생존율이 큰 것이다. 전립선암(92.5%), 유방암(91.5%)도 90%를 기록해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대장암(75.6%), 위암(73.1%)도 상대적으로 5년 생존율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달리 췌장암(9.4%), 폐암(23.5%) 등은 낮은 편에 속했다.
◆35~64세 ‘갑상선암’ ‘위암’ 위험
모든 암에서 0~14세의 암 발생률은 인구 10만명당 13.3명으로 가장 낮았다. 15~34세는 76.9명, 35~64세는 515.8명, 65세 이상은 1578.5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연령군별로 발생하는 암 종류는 달랐다. 0~14세는 ‘백혈병(3.9명)’이 1위였다. ‘뇌 및 중추신경계(1.9명)’가 뒤를 이었다. 15~34세는 ‘갑상선(43.6명)’ ‘유방(5.1명)’ ‘백혈병(2.8명)’ 등의 순이었다. 35~64세는 ‘갑상선(140.6명)’ ‘위(63.7명)’ ‘유방(61.5명)’, 65세 이상은 ‘폐(260.1명)’ ‘위(251.5명)’ ‘대장(241.4명)’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성별로도 차이를 보였다. 남성은 44세까지는 갑상선암이 가장 많았다. 50~69세까지는 위암이, 70세 이후에는 폐암이 많이 발생했다. 반면 여성의 경우 69세까지는 갑상선암, 70세 이후에는 대장암이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