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태평양 지역 동맹국 정상과 첫 회담
美 당국자 “한미일 협력 지속적 노력 지지”

[천지일보=홍보영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7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열고 북한 문제, 무역 불균형 해소, 인도·태평양 지역 안보 협력 등을 논의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에 앞서 기자들에게 “우리(미일)의 관계는 환상적이며 어떤 문제도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면서도 “우리는 또한 공정함을 원한다”고 밝혔다. 그는 미일 무역에 대해 “(미국의) 적자를 줄이기 위해 협력하길 원하고, 균형을 이뤄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대일 무역 적자는 연간 680억 달러(약 98조원)에 달한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는 무역적자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옵션”이라며 다음 주 다수 국가에 상호 관세 부과를 발표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일본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관세 폭탄’의 영향권에 포함될 가능성을 시사한 셈이다.
이에 이시바 총리는 “일본은 지난 5년 연속으로 대미 투자액 1위 국가였다”며 일본 기업들의 대미 투자가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 문제와 관련해 “우리는 북한 문제와 다른 많은 것들을 논의할 것”이라며 “북한 문제는 항상 (미일 정상회담의) 화제”라고 말했다.
미국 정부 고위 당국자는 정상회담에 앞서 진행한 전화 브리핑에서 “첫 번째 임기 때와 마찬가지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헌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트럼프 대통령은 대북 관여에 대해 열린 입장을 표명했다”며, 북한의 호응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우리는 대북 비핵화 문제에서 앞으로 나아가면서 일본과 한국 등 파트너국들과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일 3국 협력에 대해 그는 “3국 협력의 지속적인 노력을 지지할 것이며, 그 과정에서 전반적인 연속성을 유지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서 “하지만 우리가 집중해야 할 협력 분야에서 일부 조정이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인도·태평양 지역 동맹국 정상과의 회담은 이번이 처음이다. 두 정상은 사이버 안보 역량 강화, 인공지능(AI)·반도체 등 핵심 기술 분야 협력, 미국의 대일 에너지 수출 문제도 논의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5만여명에 달하는 주일미군과 미국 무기의 배치, 연합훈련 등이 의제에 포함됐으며, 일본의 방위비 증액 문제도 거론됐을 가능성이 있다.
정상회담 후 발표될 공동성명에는 ‘미일관계의 황금시대 구축’이라는 문구가 포함될 것이라고 일본 언론들은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