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이우혁 기자] 서울 등 수도권 핵심 지역에서는 아파트 청약 경쟁률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반면 지방에서는 미분양 단지가 속출하며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20일 한국부동산원의 청약홈에 따르면 지난 10일까지 1순위 청약을 받은 서울 아파트는 총 24개 단지 2992가구로 평균 경쟁률이 142.8대1을 기록했다. 반면 지방에서는 131개 단지 중 67곳(51.1%)이 1순위 청약에서 미달됐다.
서울 서초구 ‘래미안 원펜타스’는 1순위 청약에서 평균 경쟁률 527.32대1을, 강남구 ‘디에이치 대치 에델루이’는 일반공급 경쟁률 평균 1025대1을 기록했다.
반면 이달 초 청약을 받은 강원도 인제군의 한 아파트는 분양가가 2억원~3억원대였지만 120가구 모집에 단 한 명도 신청하지 않았다. 지난 1월 경북 울진군의 한 단지도 60가구 모집에 청약자가 없었다.
수도권 내에서도 지역별 차이가 뚜렷하다. 서울 동작구 수방사 부지의 한국토지주택공사(LH) 공공주택은 특별공급 30가구 모집에 1만 6724명이 접수해 경쟁률 557대1을 기록했다. 일반공급은 22가구 모집에 2만 5253명이 몰려 경쟁률이 1147.9대1에 달했다.
반면 3기 신도시 중 첫 공고가 나온 인천 계양은 사전청약 당시 분양가가 약 3억 3000만원이었으나 본청약에서는 6500만원 올라 4억원을 넘자 사전청약 당첨자의 45%가 본청약을 포기했다. 이는 자금 마련이 어렵고 입주 후 집값 상승 등 사업성이 크지 않다고 판단한 결과로 보인다.
서울에 분양가가 높아도 청약 수요가 몰리는 이유는 공급 부족으로 가격 상승 기대감이 높고 환금성(부동산을 현금으로 바꾸기 쉬운 정도)이 좋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강남은 분양가 상한제(정부가 분양가의 상한선을 정하는 제도)가 적용돼 당첨 시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점도 있다. 반면 지방은 공급이 수요보다 많아 미분양 해소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토교통부 주택통계에 따르면 8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전월(7만 1822가구) 대비 5.9%(4272가구) 감소한 6만 7550가구로 집계됐다. 이 중 81.3%인 5만 4934가구가 지방에 집중돼 있다.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전국에 1만 6461가구로 한 달 전보다 423호(2.6%) 증가했다. 서울은 517호, 수도권은 2821호로 감소 추세지만 지방은 502호 늘어난 1만 3640호로 전체의 82.9%를 차지한다.
올해 1~8월 전국 주택 인허가는 20만 155건으로 서울은 2만 2348건(11.2%), 지방은 11만 4499건(57.2%)을 차지했다. 같은 기간 착공 물량도 서울은 1만 6806호로 전년 대비 0.7% 늘었지만 지방은 20.3% 증가한 7만 1848호로 집계됐다. 준공 물량은 서울이 31.7% 감소한 2만 2945호, 지방은 28.1% 증가한 16만 1771호로 조사됐다.
- 10월 수도권에 1만 6485가구 대단지 아파트 분양… 올해 월간 최대 규모
- ‘청약 무용론’에 1년 새 36만명 통장 해지… 높은 분양가·커트라인·경쟁률 등 영향
- 청약통장 납입인정액 2.5배 늘어난다… 11월부터 최대 25만원
- 청약시장도 ‘서울 불패’ 여전… 비수도권, 미달 행진
- 올해 분양 절반 이상 ‘미달’… 서울은 1순위 125대1
- 9월 인구이동 3년 내 최대… 서울서 4천명 밀려나
- ‘하늘의 별 따기’ 서울아파트 청약, 평균 경쟁률 140대1 돌파
- ‘로또 청약’ 낳는 분양가 상한제, 시장 과열 원인으로 지목돼
- ‘악성 미분양’ 4년 4개월 만에 ‘최대’… 건설경기도 ‘흐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