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 2024.08.28.
ⓒ천지일보 2024.08.28.

[천지일보 의성=송해인 기자] 천지일보는 2018년 10월 25일 [단독]으로 경북 의성군 ‘쓰레기산’ 논란(관련기사: [단독] 의성군, 7만톤 ‘쓰레기산’ 방치 논란)을 다뤘다. 당시 보도에서는 20만톤이 넘는 폐기물이 의성군 단밀면에 불법으로 쌓여 있다는 충격적인 실태를 고발했다. 이후 CNN, BBC 등 주요 해외 언론에서도 이 문제를 보도하면서 국제적 이슈로 부상했고, 의성군은 물론 정부 차원의 대응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결국 의성군은 정부의 지원을 받아 쓰레기 처리에 나섰고, 2021년 말까지 대부분의 폐기물이 처리됐다. 이후 의성군은 2023년까지 방치 폐기물 처리 현장에 화원을 조성하기로 했지만 2024년 8월 현재까지 답보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천지일보 2024.08.28.
ⓒ천지일보 2024.08.28.

후속 취재를 위해 의성군 홍보팀장에게 1년여 전부터 수시로 전화를 걸고 문자도 남겼지만, 해당 팀장은 무슨 이유에서인지 기자의 전화나 문자에 대꾸조차 하지 않고 있다. 우연히 얼굴을 보면 반갑게 대했지만 공식적인 만남 요청이나 취재 확인차 거는 전화나 문자에는 묵묵부답이다. 다른 기자의 전화는 바로 받는 것을 보면 본지에 대한 차별적 대응이라는 합리적인 의심을 하게 된다.

공무원은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적 기관의 일원으로서, 언론과의 소통을 통해 주민들에게 정보를 전달하고, 행정의 투명성을 확보해야 할 의무가 있다. 홍보 담당 공무원이 언론을 무시하거나 차별하는 태도를 보이는 것은 공직자로서의 기본적인 책임을 저버리는 것이다.

언론은 공공의 알 권리를 대변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공무원은 언론을 적대시하거나 무시해서는 안 되며, 성실하고 투명하게 응대해야 한다. 이를 통해 주민들에게 신뢰를 얻고, 행정의 투명성을 높이는 것이 공무원의 기본적인 역할이다.

또한 특정 언론을 차별하는 행태는 공정성을 해치는 중대한 문제다. 모든 언론은 동등한 대우를 받아야 하며, 특정 언론에 대해서만 정보를 제공하거나, 반대로 정보를 차단하는 것은 공직자의 편향된 행태를 드러내는 것이다. 이러한 차별은 결국 주민들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왜냐하면, 편향된 정보 제공은 주민들이 왜곡된 정보를 접하게 하거나 중요한 정보를 놓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궁극적으로 주민들의 알 권리를 침해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의성군은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언론과의 소통 방식을 개선해야 한다. 모든 언론에 대해 공정하고 일관된 태도로 대응하며, 주민들에게 신뢰받는 행정을 펼쳐야 한다. 공무원의 언론 차별이 가져오는 피해는 결국 의성군민에게 돌아가며, 이는 행정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의성군은 주민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서라도 언론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투명하고 공정한 행정을 실천해야 할 것이다. “응답하라 의성군 홍보팀장!”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