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온라인 쇼핑 플랫폼 이용 이유. (제공: 대한상공회의소)
중국 온라인 쇼핑 플랫폼 이용 이유. (제공: 대한상공회의소)

[천지일보=황해연 기자] 중국 온라인 쇼핑 플랫폼들이 초저가 상품을 내세우는 등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한국 시장 공략에 나섰지만 국내 소비자들의 쇼핑 만족도는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가 최근 1년 이내 알리익스프레스·테무·쉬인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800명을 대상으로‘중국 온라인 쇼핑플랫폼 이용 현황 및 인식’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10명 중 8명(80.9%)은 이용에 불만이 있고 피해를 경험한 적이 있었다.

아울러 중국 온라인 쇼핑 플랫폼을 이용하는 이유로는 ‘제품 가격이 저렴해서’가 93.1%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다양한 제품을 구입할 수 있어서(43.5%)’ ‘득템하는 쇼핑 재미가 있어서(33.8%)’ ‘할인 혜택이 많아서(30.6%)’ ‘국내 상품도 함께 구입 가능해서(10.3%)’ ‘정품 같은 가품을 구할 수 있어서(8.9%)’ 등이 뒤를 이었다.

세부적인 불만이나 피해 사항으로 10명 중 6명(59.5%)은 배송 지연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이어 ‘낮은 품질(49.6%)’ ‘제품 불량(36.6%)’ ‘과대광고(33.5%)’ ‘AS 지연(28.8%)’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이 외에도 ‘배송 오류(21.4%)’ ‘개인정보 유출(18.3%)’ ‘AS 거절(16.9%)’ ‘가품 판매(15.8%)’ 등이 꼽혔다.

불만이나 피해에 대한 대처 방법으로는 ‘해당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 해결 요청을 한다(56.4%)’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10명 중 4명(39.9%)은 ‘별다른 대응을 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국내 소비자 보호기관 등에 피해를 상담한다’는 비중은 7.9%에 불과했다.

불만이나 피해에 별다른 대처를 하지 않은 이유로는‘피해가 발생할 수 있음을 감안하고 구매했었기 때문에(56.6%)’ ‘대응하는 절차가 번거롭고 까다로울 거 같아서(54.3%)’ ‘구매 가격이 현저히 낮아 대응 시 득보다 실이 많을 것 같아서(42.6%)’ ‘피해구제 요청을 해도 충분한 대응을 기대하기 어려워서(35.3%)’ 등을 차례로 꼽았다.

불만이나 피해 유형 및 경험률. (제공: 대한상공회의소)
불만이나 피해 유형 및 경험률. (제공: 대한상공회의소)

피해 예방이나 해결책에 대해서는 ‘국가 간 소비자 피해 해결을 위한 공조 협력 시스템 구축 강화(56.9%)’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이어 ‘피해 예방을 위한 다양한 피해 사례정보 제공(49.5%)’ ‘피해 정보공개 등 모니터링 강화(48.9%)’ ‘국내 관련 부처 간 협력 공조시스템 강화(37.4%)’ ‘국내 통관 강화(31.8%)’ 등이 뒤를 이었다.

이용 구매 빈도는 월 1회(58.9%)나 2회(19.5%)가 대다수를 차지했고 1회 이용 시 평균 4.2만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요 구매 품목으로는 생활용품(53.8%), 의류(40.1%), 스포츠·레저(33.1%), 가방·지갑 및 잡화(32.8%), 컴퓨터 및 주변기기(27.4%), 가전·전자·통신기기(25.9%), 신발류(14.4%) 등으로 나타났다.

이뿐 아니라 ‘아동·유아용품(7.3%)’ ‘화장품(6.8%)’ ‘건강보조식품(4.5%)’ ‘기타 식품(2.1%)’ 등이 뒤를 이었다.

이용자들은 국내 동일‧유사한 제품과 비교해 중국 온라인 쇼핑 플랫폼의 상품 판매 ‘가격수준이 반값 이하’라는 비중이 10명 중 7명(76.4%)에 달했다. 향후 이용 의향에 대해서는 이용자의 절반 정도(56.6%)만 이용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김민석 대한상의 유통물류정책팀장은“중국 온라인 쇼핑 플랫폼은 국내 소비자의 구매 선택권을 넓혀주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소비자 보호와 공정한 시장 경쟁환경 조성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