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황해연 기자] 중국 온라인 쇼핑 플랫폼들이 초저가 상품을 내세우는 등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한국 시장 공략에 나섰지만 국내 소비자들의 쇼핑 만족도는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가 최근 1년 이내 알리익스프레스·테무·쉬인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800명을 대상으로‘중국 온라인 쇼핑플랫폼 이용 현황 및 인식’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10명 중 8명(80.9%)은 이용에 불만이 있고 피해를 경험한 적이 있었다.
아울러 중국 온라인 쇼핑 플랫폼을 이용하는 이유로는 ‘제품 가격이 저렴해서’가 93.1%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다양한 제품을 구입할 수 있어서(43.5%)’ ‘득템하는 쇼핑 재미가 있어서(33.8%)’ ‘할인 혜택이 많아서(30.6%)’ ‘국내 상품도 함께 구입 가능해서(10.3%)’ ‘정품 같은 가품을 구할 수 있어서(8.9%)’ 등이 뒤를 이었다.
세부적인 불만이나 피해 사항으로 10명 중 6명(59.5%)은 배송 지연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이어 ‘낮은 품질(49.6%)’ ‘제품 불량(36.6%)’ ‘과대광고(33.5%)’ ‘AS 지연(28.8%)’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이 외에도 ‘배송 오류(21.4%)’ ‘개인정보 유출(18.3%)’ ‘AS 거절(16.9%)’ ‘가품 판매(15.8%)’ 등이 꼽혔다.
불만이나 피해에 대한 대처 방법으로는 ‘해당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 해결 요청을 한다(56.4%)’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10명 중 4명(39.9%)은 ‘별다른 대응을 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국내 소비자 보호기관 등에 피해를 상담한다’는 비중은 7.9%에 불과했다.
불만이나 피해에 별다른 대처를 하지 않은 이유로는‘피해가 발생할 수 있음을 감안하고 구매했었기 때문에(56.6%)’ ‘대응하는 절차가 번거롭고 까다로울 거 같아서(54.3%)’ ‘구매 가격이 현저히 낮아 대응 시 득보다 실이 많을 것 같아서(42.6%)’ ‘피해구제 요청을 해도 충분한 대응을 기대하기 어려워서(35.3%)’ 등을 차례로 꼽았다.

피해 예방이나 해결책에 대해서는 ‘국가 간 소비자 피해 해결을 위한 공조 협력 시스템 구축 강화(56.9%)’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이어 ‘피해 예방을 위한 다양한 피해 사례정보 제공(49.5%)’ ‘피해 정보공개 등 모니터링 강화(48.9%)’ ‘국내 관련 부처 간 협력 공조시스템 강화(37.4%)’ ‘국내 통관 강화(31.8%)’ 등이 뒤를 이었다.
이용 구매 빈도는 월 1회(58.9%)나 2회(19.5%)가 대다수를 차지했고 1회 이용 시 평균 4.2만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요 구매 품목으로는 생활용품(53.8%), 의류(40.1%), 스포츠·레저(33.1%), 가방·지갑 및 잡화(32.8%), 컴퓨터 및 주변기기(27.4%), 가전·전자·통신기기(25.9%), 신발류(14.4%) 등으로 나타났다.
이뿐 아니라 ‘아동·유아용품(7.3%)’ ‘화장품(6.8%)’ ‘건강보조식품(4.5%)’ ‘기타 식품(2.1%)’ 등이 뒤를 이었다.
이용자들은 국내 동일‧유사한 제품과 비교해 중국 온라인 쇼핑 플랫폼의 상품 판매 ‘가격수준이 반값 이하’라는 비중이 10명 중 7명(76.4%)에 달했다. 향후 이용 의향에 대해서는 이용자의 절반 정도(56.6%)만 이용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김민석 대한상의 유통물류정책팀장은“중국 온라인 쇼핑 플랫폼은 국내 소비자의 구매 선택권을 넓혀주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소비자 보호와 공정한 시장 경쟁환경 조성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 中 직구 70% 늘었는데 ‘짝퉁’ 96%가 중국산… 소비자 민원↑
- 알리, 가짜 의약품·음란물 유통 의심… EU, 조사 착수
- 中알리·테무 ‘짝퉁’ 공세에 범정부 대응 나선다
- 알리·테무, 초저가 장신구서 발암물질… 기준치 최대 700배
- 2분기 유통업 경기 기대감↑… C-커머스 공세에 유통업계 ‘불안도 커’
- 작년 온라인 구매 1위 ‘식품’… 의류·패션용품 제쳐
- 한중일 ‘민간 경헙’ 시동…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中 싱크탱크 방문
- 알리·테무 직구 어린이제품 38종서 발암물질 검출
- 어린이용품에 발암물질 ‘범벅’… ‘중국 직구’ 문턱 높인다
- 알리‧테무, ‘정부 협약’ 말 뿐인가… 아직도 ‘출처불명’ 상품 수두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