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尹, 미래외교방향 제시”
野 “日침략에 대한민국 탓”

[천지일보=이재빈 기자] 여야가 1일 윤석열 대통령의 3.1절 기념사를 두고 공방을 벌였다. 국민의힘은 국익을 고려한 것이라고 말한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식민지배를 정당화했다고 비판했다.
국민의힘 박정하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내고 “윤 대통령은 3.1절 기념사에서 오로지 국익적 관점에서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을 제시했다”며 “갈등과 대립의 연속이 아닌 역사에서 교훈을 찾고 미래지향적인 우리의 방향을 제시한 것에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대통령은) 국권을 상실하고 고통을 받은 과거를 돌아보며 조국의 자유와 독립을 위해 희생한 선열들을 기억하는 데에 머무르지 않은 것”이라며 “세계사의 변화를 제대로 준비해 과거의 불행을 반복하지 말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말했다.
그는 “복합적인 세계적 위기 극복은 물론 우리가 처한 북한의 핵 위협에 엄중히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한미일 3국의 협력 강화가 무엇보다 중요한 시기”라며 “이런 상황에서 (야당은) 국익 차원의 협력 강화를 두고 이를 정쟁적으로 해석해 비판을 쏟는다. 이는 국민보다 정파를 우선하고 국제정세를 읽지 못하는 지엽적인 시각”이라고 했다.
아울러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책임과 역할, 안정적인 동북아 정세, 발전적인 한미일 3자 협력 관계를 기대한다”며 “국민의힘도 오직 국익적 관점에서 세계사의 변화 흐름에 발맞춰 미래를 준비하는 데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반면 민주당은 윤 대통령의 기념사를 “식민지배를 정당화하는 논리”라고 비판했다.
민주당 김의겸 대변인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 대통령의 3.1절 기념사 글자 수를 세니 모두 1022자다. 대통령이 된 뒤 맞는 첫 3.1절이며 한일 사이 풀지 못한 숙제가 쌓였는데, 기념사 문장은 홀쭉하기 그지없다”고 지적했다.
김 대변인은 “윤 대통령은 일본이 과거의 군국주의 침략자에서 협력하는 파트너가 됐다고 선언했다. 이게 정말 대한민국 대통령의 기념사인가”라며 “협력 파트너는 진솔한 사과와 책임지는 자세가 전제돼야 비로소 가능하다. 일본이 조선인들을 전쟁터 갱도 위안소로 강제동원한 건 아직도 펄펄 끓는 아픔”이라고 말했다.
그는 “윤 대통령은 ‘세계사의 변화에 제대로 준비하지 못해 국권을 상실하고 고통을 받은 과거를 되돌아봐야 한다’고 말했다”며 “이는 일본의 침략을 우리 탓으로 돌리는 듯한 말투며 식민지배를 정당화하는 논리다. ‘식민지 근대화론’과 같은 궤도”라고 비판했다.
아울러 “선열들이 어떤 심경일지 두렵고 부끄럽다”며 “윤 대통령은 3.1절의 의미에 대해 되새겨보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앞서 윤 대통령은 이날 서울 중구 유관순 기념관에서 열린 제104주년 3.1절 기념식에 참석해 “일본은 과거 군국주의 침략자에서 우리와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고 안보와 경제, 그리고 글로벌 어젠다에서 협력하는 파트너가 됐다”고 말했다.
- 김남국 “당내 조직적 가결표, 부당한 檢 수사 손 들어준 것”
- 윤석열 대통령 “日, 침략자서 파트너로… 한미일 협력 어느 때보다 중요”
- 이재명 “尹정부, 3.1 정신 훼손… 온 힘 다해 견제할 것”
- 이재명 “尹정부, 일제 피해자에 ‘얼마면 되나’… 처참한 모욕”
- 박홍근 “표결 결과 추궁은 尹정권 함정… 민주, 단결해야”
- 3월 임시국회도 ‘격랑’ 예상… ‘쌍특검·양곡법’ 여야 쟁점 산적
- 尹, 日 반성 요구보다 파트너십 띄워… 강제징용 협상·정상외교 주목
- [정치in] 위기의 민주당… 이탈표 내홍에 ‘사법리스크’까지
- [정치인사이드] 강제징용 해법 ‘최종안’ 발표 임박… 피해자측 반발에도 밀어붙이는 尹정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