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차 2000대 분량, 현지 6000가구 하루 사용 가능 규모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LG화학이 일본 최대 상업용 ESS 구축사업의 배터리 공급업체로 선정됐다.
LG화학은 최근 일본의 민간 신재생 에너지 발전사업자인 GPD(Green Power Development Corporation of Japan)社의 일본 훗카이도 지역 태양광 발전 연계 ESS 구축사업의 최종 배터리 공급업체로 선정됐다고 15일 밝혔다.
이번에 설치되는 ESS는 총 31MWh로, 해당 지역의 약 6000가구가 하루 동안 전력을 사용할 수 있는 규모다. 사용되는 배터리도 전기차(Volt 기준)로 환산하면 2000대 이상이다.
이 ESS는 날씨 등 환경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생성되는 태양광 발전소의 출력을 안정적으로 제어해 국가 기간 전력망으로 송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LG화학은 2017년까지 일본 훗카이도 지역 태양광 발전소 4곳에 순차적으로 배터리를 공급할 예정이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LG화학은 훗카이도 전력 당국이 제시한 출력 변동폭 규제인 ‘1%/min 룰’을 업계 최초로 통과하며 세계 최고 수준의 ESS 기술력을 증명했다.
훗카이도 전력 당국은 원전 사태 이후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지속적으로 늘려왔는데, 이 기간 동안 민간 사업자가 난립하며 여기서 생산된 전력이 여과 없이 기간망으로 들어오는 등 위험성이 증가해왔다.
이에 따라 훗카이도 전력 당국은 신재생에너지의 출력 변동폭을 분당 1% 이하까지 제어할 수 있을 때만 전력을 판매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새로운 기준을 제정했다.
이는 기존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이 통상 10%까지의 변동폭을 허용한 것과 비교하면 세계 최고 수준의 강력한 규제를 만든 것이다. LG화학은 GPD社와의 장기간 기술 협력을 통해 고출력 ESS 솔루션을 개발, 일본 최초로 이 기준을 통과하는데 성공했다.
또한 이번 프로젝트는 정부의 보조 없이 일본 민간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가 ESS 솔루션을 도입해 사업성을 확보한 첫 사례다.
이에 따라 훗카이도 지역 내 민간사업들은 물론 , 큐슈 및 오키나와 등 일본 내 민간 발전사들로부터 관련 솔루션에 대한 문의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어 향후 대규모 추가 수주가 기대되고 있다.
이와 관련 LG화학 전지사업본부장 권영수 사장은 “전기차 배터리, ESS 등 2차 전지 사업 분야에서 쌓아온 기술력을 바탕으로 2차 전지 종주국인 일본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 규제를 뚫을 수 있었다”며 “북미와 유럽에 이어 일본 시장 공략을 통해 ESS분야에서도 확실한 세계 일등으로 올라설 것”이라고 밝혔다.
또 일본 GPD社의 키미츠카(Kimituska) CEO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의 신뢰성을 향상, 보급을 확대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사회 구축에 공헌하고자 한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후지 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일본 ESS 시장은 올해 623억엔(약 5766억원)에서 2025년에는 2454억엔(약 2조 2712억원)으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 구본무 LG 회장 “고객은 최고 가치만 추구… 기대 뛰어넘자”
- 삼성전자 등 주요기업 올해 34조4000억원 투자
- 구본무 회장 “RnD인재들, LG의 귀중한 자산”
- LG그룹, 중소·벤처기업에 2만9000건 특허 개방
- LG, 충북 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 3년간 1.6조 투자
- LG그룹, 설맞아 협력사 납품대금 1조1000억원 조기 지급
- LG화학, 작년 영업이익 1조3108억원… 전년대비 26.8%↓
- LG화학, 中 최대 업체에 배터리 분리막 특허기술 수출
- [주총] 박진수 LG화학 부회장 “금년 사업목표 반드시 달성”
- LG화학, 獨 다임러그룹에 전기차 배터리 공급
- LG화학, 중국 편광판 시장 1위 굳힌다… 中 남경공장에 1억불 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