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휴전선과 NLL(북방한계선)의 장벽 속에서 또 하나의 분단이 엿보이는 것은 문화의 남북분단이 진행돼 왔다는 것이다. 새해 벽두부터 남북이 신년사에서 통일을 운운하지만 정치적 통일의 길은 결코 단순한 대화의 문제만은 아니다. 새해에는 대한민국이 통일에 대한 주도권을 가지고 문화의 통일부터 시작해 볼 가치가 있다. 문화는 우선 무력이 아니다. 문화는 정치를 배제해 대화가 가능하고, 비폭력이며, 역사의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따라서 남북은 정치, 경제, 외교, 군사 등의 체제 경쟁분야들을 배제한 문화, 예술, 체육, 학술, 역사, 청소년 교류 등의 비체제 경쟁분야에서 과거 70년 분단의 극복을 시작해야 할 것이다.
물론 문화 통일의 길도 결코 쉽지만은 않을 것이다. 가장 큰 장애물은 북한 문화의 사회주의 사상성(思想性)이다. 북한문화의 사상성은 북한의 헌법에 명시된 대로 문화의 혁명수단화(제40조)와 혁명적이고 사회주의적인 문화 건설 수단(제41조)으로 민족고유의 문화 변형으로 발전돼 왔다고 볼 수 있다. 더욱이 노동당 규약에 따라 주체사상, 민족해방, 계급해방 등 투쟁사상성으로 변질된 북한문화는 더 심각한 통일의 장애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다가올 통일시대에는 민족문화의 동질성 회복을 위해 일당 독재와 주체사상에 물든 북한 주민에 대한 자유민주주의와 인권적 삶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교육을 체계적으로 추진해야 할 사상순화시스템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통일시대에 남북 주민 간에 우려되는 문화충돌을 대비한 문화 대화와 교류를 열어가야 한다. 이미 70년간 다르게 발전해온 남북문화는 심각한 이질감과 적대감이 형성돼 더 지체하다가는 통일의 저항문화가 될 수도 있다. 무력충돌은 승패로 끝날 수 있지만 문화충돌은 총성 없는 자존심 싸움이 되어 더 큰 민족분단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제 더 늦기 전에 문화통일운동을 통한 문화 분단의 이질감과 적대감을 극복해야 한다. 70년 동안의 문화 분단을 극복하기 위해 조건 없는 문화 대화와 교류를 통한 문화공존을 도모해 나간다면 남북 긴장완화로 이어지는 한반도 평화통일시대를 열 수도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