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유영선 기자] 올 한해 중소 납품업체 실적은 국내거래보다 해외거래 성과가 더 나은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기업간 거래(B2B)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중소기업의 납품거래실태와 전망’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5일 밝혔다.

대한상의에 따르면 지난해 대비 올해 국내 납품거래 실적을 묻는 질문에 중소 납품업체의 42.1%가 ‘지난해와 비슷했다’고 응답했고, ‘감소했다’도 40.1%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증가했다’는 응답은 17.8%에 그쳤다.

반면 응답자 중 해외매출이 있는 기업(84개사)에 대해 올해 해외 납품거래 실적을 물어본 결과, ‘지난해와 비슷했다’는 기업이 53.5%로 과반을 차지한 가운데 ‘지난해보다 증가했다’는 기업이 29.8%로 ‘감소했다(16.7%)’는 기업을 앞섰다.

중소납품업체의 국내납품거래실적이 감소한 이유로는 가장 많은 기업들이 ‘발주기업의 업황 및 사업부진 등으로 인한 구매 감소(83.5%)’를 꼽았고, 이어 ‘자사제품 경쟁력 약화로 인한 발주기업수 감소(11.3%)’ ‘발주기업의 거래처 변경(4.3%)’ 등을 차례로 꼽았다.

최성호 경기대 교수(대한상의 자문위원)는 “국내기업에 납품하는 중소기업의 매출 부진은 완제품 기업의 업황이나 사업부진에 따른 것이며 해외 납품 중소기업의 실적이 상대적으로 나은 것은 경기상황보다는 해외에 직접 수출할 수 있는 글로벌경쟁력 때문으로 보인다”라고 진단했다.

대한상의는 “해외보다 국내 거래처를 만드는데 걸리는 기간이 짧고, 거래처와 시장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이 수월하기 때문에 국내거래를 선호하는 것”이라며 “국내실적이 부진한 상황에서 이같은 국내시장 집중은 기업들간 경쟁격화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우려도 있다”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