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종담 의원은 “천안시의 채무비율이 12.3%로 재정위기 관리대상 지자체는 벗어났다”며 “향후 대규모 SOC사업과 BTL사업은 지향하고 계속적인 긴축재정운용을 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또한 그는 “시민들에게 빚 없는 천안을 돌려줘야 한다”며 “지금까지의 노력을 바탕으로 민선6기 시정이 새로운 터전위에서 힘차게 출발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이에 기획예산과 담당자는 “지방채발행은 시정발전을 위한 투자전략의 일환으로 볼 수 있었지만, 과도한 지방 채무는 시정운영의 재정상 압박요인으로 작용하게 됐다”며 “시는 이러한 지방채를 전액 상환하기 위해 3년에 걸쳐 강도 높은 긴축재정을 운영 기조를 유지했다”고 밝혔다.
또한 “결산에 따른 순세계 잉여금을 지방채 상환에 우선 편성 지출함으로써 향후에도 신규 대형사업 및 BTL사업은 시작하지 않는 등 재정건전 운영을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2014년도 행정사무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4년 10월말 현재 천안시 채무총액은 1556억 원으로 일반회계 76억 원(농산물도매시장현대화사업), 특별회계 1480억 원으로 강도 높은 긴축재정으로 줄어들고 있다.
천안시가 2014년도 지방채 발행금액 중 일반회계는 농산물 도매시장 시설 현대화 사업 확장에 따른 국비교부 조건부 발행액을 제외하고는 전액이 상환 되는 걸로 나타났다.
특별회계 1480억 원은 5산업단지 조성사업으로 발생한 채무로 분양이 완료되면 전액 상환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박주환 기자
bumpark31@naver.com
다른 기사 보기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