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유영선 기자] 산업통상자원부가 22일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업계와 간담회를 갖고 반도체·디스플레이산업 ‘제조업 3.0 선도’ 등 세 가지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윤상직 산업부 장관은 이날 오전 서울 서초구 팔래스호텔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등 업계 관계자와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윤 장관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업계의 과감한 투자로 세계 최고 경쟁력을 보유할 수 있게 됐다”며 “제조업 혁신 3.0시대를 선도하고 사물인터넷, 웨어러블 등 새로운 시장 창출에 역점을 둬 경쟁력을 유지하도록 함께 노력하자”고 당부했다.
이번 간담회에서 발표된 반도체ㆍ디스플레이 산업분야 정부 정책방향 세 가지는 ▲제조업 3.0 선도 ▲미래 유망기술 화복 주력 ▲산업생태계 분위기 조성 등이다.
이를 위해 산업부는 제조업 혁신 3.0을 선도하고, 메모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SoC, SW, 센서 등이 결합되어 새로운 융합제품이 나올 수 있도록 교류협력을 활성화하기로 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모바일 CPU코어, 첨단센서 등 미래기술 확보에 주력하고, 대기업과 중소․중견기업이 함께 협력해 반도체․디스플레이산업 전체가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분위기 산업생태계 분위기 조성키로 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업계 측 관계자들은 후발주자와의 기술격차 유지, 융합형 고급인재, 전문인력 부족, 환경안전 규제강화로 산업 위축 등으로 인한 애로를 호소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유영선 기자
sun@newscj.com
다른 기사 보기
관련기사
- 삼성전자 반도체 노동자, 백혈병으로 또 사망
- 반올림 “삼성전자 직업병 사망자만 70명”
- 삼성 평판TV ‘독주’… 34분기 연속 1위
- 삼성 · 현대차 · LG ‘추석 내수’ 활성화 나선다
- 삼성, 추석 앞두고… 내수 활성화 지원
- 반올림 ‘균열’… 삼성과 교섭 난항 예고
- 삼성전자, 올해 시설투자에 ‘24조원’
- 동부하이텍 새 주인 누가 될까
- 삼성전자, 본사 인력 15% 사업장 현장 배치
- SK하이닉스, 업계 최초 차세대 ‘와이드 IO2 모바일 D램’ 개발
- 산업부, 올 R&D 과제 수행에 여성 3천명 채용
- 산업부 “U턴 기업, 우리 경제의 새 활력소”
- 삼성전자 등 16개 주요기업, 하반기 28조 신규 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