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삼성전자가 꺼져있는 화면의 잠금을 해제하는 새로운 방식의 특허를 출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는 해당 내용을 담은 ‘이동 단말에서의 잠금 해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특허(출원번호 10-2012-0097132)를 2012년 9월 출원했다. 새로운 잠금해제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 (자료제공: 특허정보 사이트)

화면에 그린 곡석의 교차점수 인식해 잠금 해제

[천지일보=이승연 기자] 삼성전자가 꺼져있는 화면의 잠금을 해제하는 새로운 방식의 특허를 출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비밀번호, 패턴인식, 지문인식, 노크 등으로 진화하고 있는 잠금 해제 기술의 새로운 방식으로 자리 잡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13일 특허청이 운영하는 특허정보 사이트 키프리스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2012년 9월 ‘이동 단말에서의 잠금 해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특허(출원번호 10-2012-0097132)를 출원했다.

하루 전 특허청이 공개한 정보를 보면 이번 삼성이 출원한 방식은 꺼져 있는 스마트폰 화면에 그림을 그려 잠금을 해제하는 방법이다. 기존에 세모, 동그라미 등을 그려 특정 기능으로 바로 연결되게 하는 기술은 있었지만 차이는 이 특허의 경우 가상 곡선의 교차점의 수로 기능 수행 여부를 판단한다는 것.

교차점이 없으면 스마트폰의 잠금이 해제되지 않고, 교차점이 하나이면 홈 화면으로 진입하는 등 교차점의 수에 따라 미리 설정한 기능이나 애플리케이션(앱)을 바로 실행할 수도 있다.

삼성전자는 해당 특허 출원 문서에 “잠금해제를 위한 터치 입력 패턴에 있어 터치 면적, 터치 위치 및 터치 모양 등에 제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보다 자유로운 터치 입력을 통해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삼각형, 원 등 어떤 모양이라도 폐곡면이면 모두 잠금 해제를 위한 조건으로 인식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보다 편리하게 잠금해제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앞서 LG전자는 ‘노크온’ 기능을 발전시켜 스마트폰 화면을 두드려 잠금해제와 화면을 키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노크 코드’를 선보이기도 했다. 노크 코드의 경우 편의성과 함께 보안성을 확보해 새로운 잠금해제 방식으로 눈길을 끌었다. 반면 삼성의 이번 잠금해제 방식은 편의성은 뛰어나지만 보안적인면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여 스마트폰 적용 시 가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13일 삼성전자가 꺼져있는 화면의 잠금을 해제하는 새로운 방식의 특허를 출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는 해당 내용을 담은 ‘이동 단말에서의 잠금 해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특허(출원번호 10-2012-0097132)를 2012년 9월 출원했다. 새로운 잠금해제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 (자료제공: 특허정보 사이트)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