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외투쟁 동력 떨어질까 우려… 철저한 선 긋기

[천지일보=명승일 기자] 이석기 사태를 둘러싼 민주당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무엇보다 국정원 개혁에 대한 여론이 묻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엿보인다.
장외투쟁을 이어가고 있는 민주당은 이석기 사태 이후 발 빠르게 통합진보당과 선 긋기를 하고 나섰다. 국정원의 불법 대선 개입 사건과 내란음모 사건은 별개로 보고 있는 것이다. 그러면서 통합진보당이 참석한다는 이유를 들어 지난 8월 29일 국정원 대선 개입 규탄을 위한 부산 촛불집회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민주당은 또한 8월 31일 서울역광장에서 열린 ‘민주주의 회복과 국정원 개혁 촉구 국민보고대회’에서 통합진보당과 엮이지 않기 위해 고심하는 흔적이 역력했다.
김한길 대표는 이날 “언론이 말하는 대로 종북세력의 어처구니없는 발상이 사실이라면, 우리가 절대로 용납할 수 없는 충격적인 사건”이라며 “신속하고 철저한 수사가 있어야 마땅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민주당은 특히 새누리당이 제기한 ‘야권연대 책임론’에 대해 강력히 부인하고 있다. 통합진보당 이석기 의원이 국회에 입성할 수 있었던 데는 제1야당인 민주당의 책임이 크다는 주장을 반박한 것.
박용진 대변인은 “(야권연대) 당시엔 통합진보당 내 일부인사의 종북성향이 드러난 것도 아니고, 이번에 문제가 되고 있는 회합도 총선이 1년 이상 지난 올 5월에 일어난 일이기 때문에 전후관계를 뒤집어 책임론을 이야기하는 것은 지나친 억지이자 정치공세”라고 반박했다.
하지만 이석기 사태에 국정원 개혁이 묻히는 데 대해선 고민스럽다는 표정이다. 이번 사태로 인해 정치권의 모든 이슈가 묻히며 국정원 개혁에 대한 동력을 확보하기 어렵게 됐다는 분석이다. 내란음모 사건이 정기국회의 쟁점현안으로 부상할 경우, 정국의 주도권을 쥘 수 있는 현안도 마땅히 없다는 게 또 다른 고민이다.
더욱이 박근혜 대통령과의 양자회담도 풀리지 않고 있어 이래저래 난감한 입장이다. 정기국회를 앞두고 원내로 회군할 수 있는 명분이 더욱 줄어든 것이다. 이에 따라 민주당은 이번 주에 국정원 개혁과 관련한 당론을 확정하고 국정원과 청와대를 압박할 방침이다. 시민단체가 주관하는 촛불집회에도 지속적으로 참여할 계획이다.
- [포토] 통합진보당 전국지역위원장 긴급 기자회견
- 김성태 “통진당 ‘정치탄압’ 주장은 어불성설”
- [포토] ‘내란음모’ 사건 반박하는 통합진보당 경기도당 관계자들
- [포토] 취재진 질문에 답하는 5.12 정세 강연 참석자들
- [포토] 발언하는 통합진보당 이정희 대표
- [포토] 통진당 “이석기 체포동의안 본회의 처리 결사반대”
- [속보] 국회, 체포동의안 ‘원포인트 본회의’ 오후 개최
- [포토] 이정희 “국회 체포동의안 처리 중단” 촉구… 단식농성 돌입
- 체포동의안 “이석기, 국회를 ‘혁명투쟁의 교두보’로 인식”
- 김재연 “RO 지칭한 김진태·언론사 고소할 것”
- 김진태·김재연 ‘RO’ 발언에 맞고소 공방
- 야권연대 종지부 찍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