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주기 추모특별展… ‘법어 서화작품’ ‘열반 보도사진’ 전시

[천지일보=박준성 기자]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로다.”
성철스님(1912∼1993)이 1981년 1월 20일 대한불교조계종 제6대 종정으로 추대되며 남긴 법어다. 스님은 이 한 마디로 세간에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유명인사가 됐다.
성철스님은 1993년 산문에 든 지 58년 만에 입적하면서 제자들에게 “참선 잘 하라”는 당부와 함께 다음과 같은 열반송을 남겼다.
“일생 동안 남녀의 무리를 속여서 / 하늘 넘치는 죄업은 수미산을 지나친다 / 산 채로 무간지옥에 떨어져 그 한이 만 갈래나 되는도다 / 둥근 수레바퀴 붉음을 내뱉어 푸른 산에 걸렸도다.”
출가 후 평생을 참선 수행으로 일관한 성철스님의 20주기 추모 특별전시회가 오는 30일부터 9월 15일까지 서울 예술의전당 서울서예박물관에서 백련불교문화재단 주최로 열린다.
백련불교문화재단 이사장 원택스님은 “성철 큰스님의 열반을 추모하는 행사 중 법어를 표현한 서화 작품들은 큰스님의 가르침을 기존 방식과는 다르게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며 “20년 전의 일이긴 하지만 당시 보도사진을 통해 큰스님 열반의 자취를 되새겨 보는 것도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양동 계명대 석좌교수가 성철스님의 법어를 서화로 표현한 작품 40여 점과 스님의 열반 당시 여러 언론사가 촬영한 보도사진 32점이 전시된다.
김 교수는 “이번 추모전은 불교적 상징성이 강한 회화적 이미지를 적절한 법어와 융합해 종교적 선미(禪味, 참선의 오묘한 맛)와 도덕적 교육효과가 드러날 수 있는 내용으로 작품화했다”고 말했다.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로다’란 법어와 열반송, 열반 3주기 때 미당 서정주 시인이 발표했던 추모시 등이 서화 작품으로 선보인다. 또한 스님이 생전에 즐겨 입었던 누더기 가사를 그려낸 ‘지상의 옷 한 벌’이란 제목의 작품은 회화적으로 재현해 소박하면서도 스스로에게 엄격했던 구도 정신을 돌아보게끔 한다.
한편 백련불교문화재단은 9월 25일 오후 1시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육조혜능과 퇴옹성철, 그리고 한국불교’를 주제로 한 학술포럼을 여는 데 이어 10월 19일에는 해인사 성철스님 사리탑에서 1천명이 참여하는 ‘일체중생의 행복을 기원하는 3천배 기도’를 올린다.
- 천태종, 불교천태중앙박물관 개관
- 예장 고신 금권선거 의혹 9월 총회 HOT 이슈
- 개신교 보수교단 ‘한국개혁주의연대’ 창립한다
- 총신대 총장 선거 후보 김남준 목사·한춘기 교수 검증 중
- ‘벽화그리기’ 신천지·(사)만남, 손에 손잡고 ‘감동·기쁨’ 선사
- 신천지 수원교회, 벽화그리기 재능기부 “마을이 달라졌어요”
- 문선명 총재 ‘평화·통일’ 메시지 전 세계로
- 불교계, 검찰에 ‘승려도박’ 사건 수사 촉구
- [종교인 인터뷰] “인내천·홍익인간 같은 맥락, 융합·통합 정신 깃들어 있다”
- 조계종 선거 막판 ‘자승 연임?’ 논란 재점화
- 국립광주박물관 특집전 ‘하서 김인후와 필암서원’ 개최
- 침묵 깬 스님들 ‘자승 연임 반대’… 왜 나섰나
- 재가연대 ‘적광스님 폭행’ 공동조사위 제안
- “자승스님, 장주스님과 밀약 하셨느냐”
- 해인사 마애불, 1200년 만에 일반에 공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