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연락망 구축ㆍ기관 보유 인력 장비 공동 활용 등 협력키로

▲ 충남도는 18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충남도교육청, 충남지방경찰청, 육군 제32사단, 대전지방기상청, 금강유역환경청, 대전지방국토관리청 등 23개 기관장과 함께 '재난 안전 충남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진제공: 충남도청)

[천지일보 충남=박진환 기자] 충남도가 도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재난에 대한 발 빠르고 유기적인 대응을 위해 지역 내 23개 재난관리책임기관과 재난대응 업무협약을 맺었다.

도민 안전이 지역발전의 출발이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총체적 재난관리 시스템을 구축, 도의 ‘안전 충남’ 실현 의지를 재천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안희정 지사는 18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충남도교육감, 충남지방경찰청장, 육군 제32사단장, 대전지방기상청장, 금강유역환경청장, 대전지방국토관리청장 등 23개 기관장과 ‘재난 안전 충남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광역자치단체가 지역 내 재난관리책임기관과 재난 안전 협약을 체결한 것은 이번이 전국 처음이다.

협약에 따르면, 도를 비롯한 24개 기관은 도민이 재난으로부터 안전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해 나갈 수 있도록 맡은 임무와 역할을 새롭게 인식하고, 재난사고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공동 협력하며, 이를 위해 기관별 비상연락망 유지 등 긴밀한 공조체계를 유지한다.

각 기관은 이와 함께 협약의 효율적 이행을 위해 실무책임관을 선임키로 했으며, 5개 분야 29건의 협업과제를 발굴, 공조해 나가기로 했다.

▲ 업무협약에서 ‘재난 안전 충남’을 위한 긴밀한 공조를 강조하고 있는 안희정 충남도지사 (사진제공: 충남도청)

이날 협약식에서 안희정 지사는 “서해안 유류유출 사건과 태풍 곤파스, 구제역, 금강 하류 물고기 집단폐사 등 최근 5년간 도내에서 발생한 대형 재난에 대한 대응을 분석한 결과, 콘트롤 타워가 없어 기관 간 정보공유나 협력체계 미흡, 역할 혼란 등의 문제가 발생했던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번 협약에 따라 종합 콘트롤 타워 기능을 크게 강화, 도민 생명과 재산을 효율적으로 지켜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협약식에 이어 진행된 정책토론회에서는 서울과학기술대 김찬오 교수가 좌장을 맡아 충남발전연구원 최병학 박사와 충남대 길병옥 교수가 ‘안전 충남 만들기 전략적 추진방안’, ‘민간 참여형 재난관리 추진체계 구축’을 주제로 각각 발표한 뒤 토론을 진행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