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계 언론 매체인 ‘불교포커스’ 신희권 대표가 9일 유튜브 방송 중 폐간 소식을 알리고 있다. (출처: 유튜브 불교포커스 캡쳐)
불교계 언론 매체인 ‘불교포커스’ 신희권 대표가 9일 유튜브 방송 중 폐간 소식을 알리고 있다. (출처: 유튜브 불교포커스 캡쳐)

자승스님 비판해온 불교포커스

2006년 창간 16년 만에 폐간

해종 언론 낙인 찍혀 운영 고충

[천지일보=임혜지 기자, 김민희 수습기자] 국내 최대 불교 종단 대한불교조계종(조계종)을 비판해온 불교 매체가 15일부로 폐간한 가운데 매체 대표가 그간 물리적 외압이 있었음을 우회적으로 암시하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불교계 언론 매체인 ‘불교포커스’ 신희권 대표는 지난 9일 유튜브를 통해 “불교계에 분명히 고쳐야 하고 바로잡아야 할 일이 있음에도 기존 언론들의 역할이 부재하다는 생각에 불교포커스를 2006년 출범했다”며 “아쉽게도 그때 세웠던 원력, 그 서원은 이뤄지지 못했고 심지어 지금은 더 어려운 상황”이라며 이같이 전했다.

신 대표는 불교포커스가 폐간한 데는 자신의 건강상 이유가 가장 크다면서도 종단에 비판 보도를 이어온 것과 관련해 지속적으로 항의가 있었음을 시사했다. 그는 “본의 아니게 순례지가 돼 어떤 원력을 세웠다는 분들이 저희를 맑게 이끌겠다고 하면서 매일 와서 어떤 행위들을 하고 갔다”며 “불교포커스가 문을 닫는 게 배경에 있는 무리의 뜻에 굴복당하는 게 아니냔 시각도 있어서 지금이 아닌 다른 시기를 조언해주신 분도 있었다. 그러나 그들의 행위에 과감히 맞서다가 더는 유지할 수 없을 때 없어져 주는 것 또한 할 수 있는 마지막 일”이라고 말했다.

이 매체는 2006년 2월 15일 창간돼 조계종단의 자정과 개혁을 주장하며 이른바 ‘조계종 상왕’이라 불리는 전 총무원장 자승스님을 비판해왔다. 자승스님 비리 등을 보도하면서 조계종으로부터 ‘해종언론’으로 낙인이 찍혔고 이후 광고 등이 전면 중단되면서 운영에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신 대표는 1년 전부터 뇌출혈로 투병한 것으로 전해졌다.

익명을 요구한 불교 관계자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그동안 10년 가까이 광고가 차단돼 재정이 어려운 상태인 데다 신 대표의 투병으로 (폐간) 결정을 하게 된 것”이라며 “이번 사태에 직접적인 외압은 없지만, 광고를 철저하게 차단한 것이 사실상 (조계종의) 외압”이라고 말했다.

이번 불교포커스 폐간 외압 논란과 관련해 조계종 관계자는 “따로 드릴 말씀이 없다”며 구체적 언급을 자제했다.

불교계에서는 조계종의 입법부 등 불교 권력을 사실상 자승스님이 쥐고 있다고 보는 시각이 짙다. 지난달 21일 정부의 종교편향을 이유로 스님 3000여명이 모인 가운데 강행된 대규모 전국승려대회에 자승스님의 의지가 실렸다는 주장도 나왔다.

더욱이 최근 총무원이 자승스님을 비판하고 전국승려대회를 반대해 온 일부 불교계 시민단체 관계자 등에 대해 잇따라 고발·징계에 나서면서 탄압 논란이 커지고 있다.

총무원은 지난달 26일 불교포커스 유튜브에서 자승스님을 비판한 전국민주연합노조 조계종 지부 박정규 홍보부장을 해고했다.

또 불교시민사회단체인 정의평화불교연대(정평불) 측이 승려대회 찬반 설문 조사를 시행한 것이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이라며 지난달 27일 경찰에 고발했다. 정평불은 승려대회 개최를 이틀여 앞두고 승려 1만여명에게 문자메시지를 보내는 식으로 찬반 설문 조사를 벌인 바 있다. 당시 설문에 응답한 승려 942명 중 찬성은 301명(32.4%), 반대는 601명(64.4%)으로 반대하는 목소리가 두 배 더 많았다고 밝혔다.

뿐만 아니라 총무원은 전국승려대회 취소를 공개적으로 요구했던 승려 3명에 대해서도 종단의 사정기관인 호법부로 나와 조사받을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

한편 조계종이 전국승려대회 개최 이후 2월 중 열기로 했던 범불교도대회를 열지 않기로 하면서 불교계와 문재인 정부와의 갈등은 일단락된 것으로 보인다. 종교편향 등에 대해 대통령의 사과는 이뤄지지 않았지만 이번 대회를 통해 분명한 실리를 챙겼다는 평가가 나온다.

실제로 종교편향불교왜곡범대책위원회는 10일 대책 회의 이후 발표한 입장문에서 “더불어민주당 전통문화발전특위가 국립공원과 문화재 보존정책을 규제 일변도에서 종합적 국가지원체계 정립으로 대전환을 선언했고, 조세특례제한법 일부 개정안, 문화재보호법 일부 개정안 등 불합리한 규제 개선을 위한 법령 개정 계획도 발표하고, 국무총리실 산하에 종교평화차별금지위원회도 설치하기로 약속했다”고 밝혔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