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3년 가까이 이어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로 비대면 거래가 늘어나면서 올해 카드 승인액이 사상 처음 100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4일 여신금융협회 등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카드 승인액은 977조 1000억원으로 전년(885조 7000억원)보다 10.3% 증가했다. 이 중 신용카드 승인액은 762조 5000억원, 체크카드는 210조 9000억원으로 각각 전년보다 11%, 9.1% 증가했다.
최근 3년간 전체 카드 승인액은 최소 5% 이상 증가세를 유지해왔다. 지난 2018년 810조 7000억원이었던 전체 카드 승인액은 2019년 856조 6000억원, 2020년 885조 7000억원으로 늘었다. 이러한 추세를 고려하면 올해 카드 승인액 1000조원 돌파는 무난하다는 것이 업계의 관측이다.
카드 승인액이 늘어나는 것은 코로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후 급격히 확산된 비대면 결제문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지난해 비대면 거래량 증가에 힘입어 도·소매업 카드 승인액은 512조 2000억원으로 직전년도보다 14.5%나 급증했다. 정보기술(IT) 발달로 현금 대신 카드 사용이 일반화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이외에도 학원이나 예술, 스포츠 분야 활동 관련 카드 승인액이 전년 대비 12∼20%가량 늘어나면서 올해 역시 관련 승인액이 꾸준히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김누리 기자
cho2yul@newscj.com
다른 기사 보기
관련기사
- 아파트 대출은 아빠가 갚아주고 명품은 엄마카드로… 국세청 편법증여 세무조사 착수
- 아파트 대출은 아빠가 갚아주고 명품은 엄마카드로… 국세청 편법증여 세무조사 착수
- 이재명, 의전·법카 논란에 사과… 국민의힘 “김혜경 방지법 나와야” 비판
- 이재명, 의전·법카 논란에 사과… 국민의힘 “김혜경 방지법 나와야” 비판
- “세뱃돈 맡아주기는 옛말”… 10대 전용 금융서비스 뭐가 있을까
- “세뱃돈 맡아주기는 옛말”… 10대 전용 금융서비스 뭐가 있을까
- 신용·체크카드 이젠 세로형이 대세… 작년 발급 10장 중 7장 차지
- 신용·체크카드 이젠 세로형이 대세… 작년 발급 10장 중 7장 차지
- 12월 은행권 주담대 평균금리 7년 7개월 만에 최고 수준, 연 3.63%
- 12월 은행권 주담대 평균금리 7년 7개월 만에 최고 수준, 연 3.63%
- 카드사 역대급 실적에도 ‘혜자카드’ 줄줄이 단종… 그 이유는?
- 카드사 역대급 실적에도 ‘혜자카드’ 줄줄이 단종… 그 이유는?
- 훔쳐 쓰고 정보 도용하고… 5년간 신용카드 부정사용 11만건 넘어
- 훔쳐 쓰고 정보 도용하고… 5년간 신용카드 부정사용 11만건 넘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