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이 23일 춘추관 브리핑룸에서 전두환 전 대통령 사망 관련 브리핑을 열고 별도의 조문계획은 없다고 밝히고 있다. (출처: 연합뉴스)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이 23일 춘추관 브리핑룸에서 전두환 전 대통령 사망 관련 브리핑을 열고 별도의 조문계획은 없다고 밝히고 있다. (출처: 연합뉴스)

[천지일보=이대경 기자] 청와대가 10일 국민의힘이 문재인 대통령의 아랍에미리트연합(UAE)·사우디아라비아·이집트 등 중동 3개국 순방 일정을 미리 공개한 것과 관련해 “명백한 외교적 결례를 넘어 상대국과의 신뢰관계 훼손”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전날 국민의힘이 3개국과 합의한 공식 발표 시점을 어기고 사전에 일정을 노출한 것에 대해 꼬집은 것이다. 경호상 대외비로 부쳐지는 대통령의 정상외교 일정은 통상 상대국과 엠바고(보도유예)를 걸고 동시간대에 언론에 공식 발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춘추관 브리핑을 통해 문 대통령의 아랍에미리트(UAE),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등 중동 3개국 순방 계획을 밝힌 뒤 “어제 한 야당이 대통령의 순방일정을 포함하는 논평을 낸 것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하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박 대변인은 “외교의 본질은 상대국과의 신뢰를 기반으로 국익을 추구하는 것에 있다”며 “공식 발표 전에 순방 일정을 공개하는 것은 외교적 결례를 넘어서 상대국과의 신뢰관계를 훼손하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대한민국 정상외교는 높은 위상 보이면 실질적 성과로 기여하고 있다”며 “수권정당이 되고 싶은 야당이라면 외교적 고려가 필요한 사안에 대해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전날 국민의힘 장영일 선거대책본부 상근부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새해 벽두부터 문 대통령의 해외 순방 소식이 들려온다”며 “벌써부터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UAE 등 중동국가들이 거론되고 해당 국가들과의 경제협력 관련 보도가 줄을 잇는다”며 대통령의 순방 일정을 사전에 공개해 논란이 됐다.

그러면서 “이집트 등 중동국가들과 얼마나 시급한 현안이 있는지는 모른다”며 “임기가 4개월도 남지 않은 대통령이 코로나 위기 속에 신음하는 국민을 제쳐둔 채 꼭 지금 나가야만 하는지 의문”이라고 비판했다.

다만 문 대통령의 외교 일정이 사전 공개된 것과 관련해 상대국의 공식 항의나 일정변경 등은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공식적인 경로로 항의를 듣진 않았다”면서도 “명백한 외교 결례 행위였다고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오는 15일부터 22일까지 6박 8일 일정으로 UAE,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등 중동 3개국 순방에 나선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