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김광수 은행연합회장이 2022년 임인년(壬寅年) 새해를 맞아 은행권에 데이터 수집·분석,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리스크(위험) 관리를 목표로 삼아달라고 당부했다.
김 회장은 30일 신년사를 통해 “지금 우리 금융산업은 전대미문의 대격변을 겪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며 “ICT(정보통신기술) 기업들이 금융에 진출하면서 금융·비금융의 경계가 흐릿해지는 ‘빅 블러(Big Blur)’ 현상이 돌이킬 수 없는 흐름이 됐고, 금융회사에 대한 ESG 경영 요구도 더 구체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또 “금융산업의 대격변은 기존의 방식으로는 예측하기 어려운 새로운 형태의 리스크를 초래할 수 있을 것”이라며 “팬데믹의 장기화로 인한 리스크 누적뿐만 아니라, 급격한 디지털 전환과 가상자산의 폭발적 성장은 이전에는 없던 새로운 리스크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새해 금융산업 혁신의 방향을 제시했다. 대변혁이 큰 위기로 느껴질 수 있지만, 오히려 파격적인 혁신을 시도하기 적절한 때라고도 덧붙였다.
김 회장은 “첫 번째, 데이터 중심 경영을 전사적 목표로 삼아야 한다”며 “앞으로 대변혁하는 금융산업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금융회사가 이미 보유한 금융 데이터뿐만 아니라, 비금융 데이터, 가상자산과 가상공간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수집·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두 번째로는 ESG 비전·목표의 구체화가 거론됐다. 기존의 금융을 넘어 비금융 생활서비스 진출이 필요하고, 가상자산과 가상공간 분야로 사업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그는 “새해에는 유럽에서 그린 텍소노미에 기반해 은행권의 녹색자산 투자비율을 공시하도록 하는 등 그린워싱을 걸러내는 시도가 더욱 강화될 것”이라며 “이러한 국제적 기준은 우리나라 금융회사에도 가까운 미래에 적용될 것이므로, 올해부터는 넷제로(Net-zero) 경영에 대한 구체적 계획을 수립하고 실천할 때”라고 말했다.
또 환경뿐 아니라 ‘포용금융’ 등 다양한 사회적 책임에도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회장은 “급격한 디지털 전환에 따른 금융소외계층에 대한 금융 접근성 확보와 양극화·불평등 심화 등 우리 사회의 문제 해결을 위해서도 금융이 기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다방면으로 고민하고 실천해 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급변하는 환경 속에 새로 발생하는 리스크에도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그는 “금융회사의 급격한 디지털화는 경영진들에게 익숙한 기존의 방식으로는 명확히 측정되지 않는 새로운 리스크를 촉발할 우려가 있다”며 “데이터 확보와 디지털 전환을 위해 다양한 혁신을 시도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통제·관리·점검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과 데이터 복원력 강화 방안에 대해서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코로나19) 팬데믹 장기화에 따라 금융의 실물경제 지원에 대한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며 “미국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진전, 금리 인상 그리고 미국·중국 갈등 심화 등 다양한 글로벌 리스크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리스크관리 체계를 사전에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