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박준성 기자] 고승범 금융위원장이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의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등에 대한 2021년도 종합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천지일보 2021.10.21
[천지일보=박준성 기자] 고승범 금융위원장이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의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등에 대한 2021년도 종합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천지일보 2021.10.21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고승범 금융위원장이 빅테크·금융회사 등 대형 금융플랫폼의 데이터 독점·편향적 서비스에 대해서는 영업행위 규제를 통해 철저히 감독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특히 빅테크의 금융업 진출에 대해선 동일기능·동일규제 및 소비자보호 원칙이 지켜지는 가운데 이뤄지게 할 계획이다.

고 위원장은 15일 서울 마포구 프론트원에서 열린 ‘금융플랫폼 혁신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에 참석해 디지털 혁신금융 발전전략의 방향을 제시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대형 금융플랫폼의 네트워크·락인(Lock in) 효과가 커지고 있다”며 “이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데이터 독점, 편향적 서비스 제공 등에 대해서는 영업행위 규제 등을 통해 철저히 감독하겠다”고 강조했다.

락인 효과란 다수가 사용하는 기존 플랫폼에 이용자가 묶여 다른 플랫폼으로 벗어날 수 없는 현상을 말한다.

금융당국은 이 같은 부작용을 차단하기 위해 현행법에 따라 대형 금융플랫폼에 대한 영업행위를 감독하고 있다. 현행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에 따르면 ▲금융플랫폼의 손해전가 ▲경제상 이익 제공 강요 ▲경영활동 관여 등은 금지돼 있다.

기존 금융업권을 위한 방안으론 정보공유, 업무 위수탁, 부수·겸영 업무, 핀테크 기업과 제휴, 슈퍼 원앱(Super One-app) 전략 등 이슈에 대해 합리적인 대안을 모색할 방침이다.

고 위원장은 사업자 간 규제 차별, 소비자보호 미흡, 데이터 독점, 새로운 서비스와 기존 규제의 충돌 등을 플랫폼화(化)하는 과정의 우려 사항으로 꼽았다. 또 플랫폼을 통한 금융서비스 제공도 금융안정과 소비자보호, 공정경쟁 기반 위에서 추구돼야 한다는 사실에는 이견이 없을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금융위는 이용자 보호를 위해 디지털 리스크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되 규제를 합리화할 방침이다.

고 위원장은 “쟁점이 되는 현행 망분리 규제는 금융보안에 관한 대원칙을 유지하되, R&D(연구개발) 시스템이나 고객정보를 다루지 않는 서버 등 업무 성격, 개인정보 취급 여부를 고려해 규제 합리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확대에 맞춰 사후보고 등 보고 절차는 단순화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간담회에는 네이버파이낸셜, 카카오페이, 비바리퍼블리카, 뱅크샐러드, KB금융지주, NH농협금융지주, 신한은행, 우리은행, 한화생명, 현대카드, 금융결제원, 신용정보원, 금융보안원, 정중호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소장, 정순섭 서울대학교 교수 등이 참석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