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6977명으로 집계, 사망자가 80명으로 역대 최다 수치를 기록한 11일 오전 서울역 광장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시민들이 코로나19 검사를 받고 있다. ⓒ천지일보 2021.12.11](https://cdn.newscj.com/news/photo/202112/780676_800614_0934.jpg)
유명순 서울대 교수팀, ‘일상회복’ 영향 인식조사
‘위험이 커지지 않다’고 답한 사람은 8.0%에 불과
[천지일보=김빛이나 기자] 국민 10명 중 7명은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 전환 이후로나19 위험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이 커지지 않다고 있다고 생각하는 국민은 8.0%에 불과했다.
유명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팀은 11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단계적 일상회복 경험에 관한 국민 인식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설문조사는 전국 성인남녀 912명을 대상으로 한국리서치가 시행했다. 표집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25%포인트다.
번 조사 결과 “위드 코로나 시행에 따라 일상이 얼마나 회복됐냐”는 질문에 대해 ‘회복세가 뚜렷하다’는 답은 33.8%, ‘뚜렷하지 않다’는 답은 33.3%, ‘중간’은 32.9%로 나타났다.
특히 코로나19 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응답한 비율이 68.9%, 위험이 ‘중간’이라고 답한 사람은 23.1%, ‘위험이 커지지 않음’이라고 답한 사람은 8.0%에 불과했다.
또한 응답자 절반은 거리두기 완화에 따른 코로나19 위험 증가 대비책이 미비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구체적인 미비점으로는 병상 확충 대책(58.1%), 중환자 치료 인력 확충(29.8%), 국민 개인 방역수칙 준수 유지 대책(22.1%) 등이 꼽혔다.
감염 확산이 심각해지면 방역패스를 다중이용시설로 확대 적용하는 방안에는 절반 이상(65.1%)가 동의했고, 동의하지 않는 응답자는 15.6%였다. 19.3%는 동의도 반대도 하지 않았다.
이번 11월 설문조사에서 본인이 코로나19에 감염되더라도 심각할 것이라고 우려하는 응답자의 비율은 57.7%였다. 유 교수팀이 해 온 국민 인식조사에서 이렇게 우려하는 응답자의 비율은 올해 2월 72.6%, 8월 59.4%, 10월 58.3% 등 계속 낮아지는 추세다.
또한 부스터샷(추가접종)을 맞겠다는 사람이 78.9%였고, 11.6%는 접종하지 않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유명순 교수는 “설문조사 시행 시점을 고려할 때 위드 코로나 경험은 국민 인식을 기대나 긍정 전망보다는 우려와 위험을 크게 보는 쪽으로 방향을 틀도록 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