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 대통령, 4개월만에 특별방역점검회의 주재
오후 5시 관계부처 합동브리핑서 대책 발표
[천지일보=홍보영 기자]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 적용 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4000명에 달하고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수가 연일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모든 방역 지표가 악화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방역 강화 방안을 오늘(29일)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방역 수준이 얼마만큼 강화될지 관심이 모아진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오후 2시 청와대에서 코로나19 대응 특별방역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추가접종과 병상 확보 등에 대한 대책을 논의한다.
단계적 일상회복으로의 전환 후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4000명을 넘나드는 데다 새 우려변이인 ‘오미크론’까지 출현하면서 방역에 대한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 회의 결과가 주목된다.
이날 회의에서는 4주간의 단계적 일상회복 시행을 평가하는 한편, 의료체계를 비롯해 백신 추가 접종 상황 등을 점검한다. 문 대통령이 직접 특별방역점검회의를 주재하는 건 지난 7월 수도권 특별방역점검회의 이후 4개월 만이다. 그만큼 일상회복으로의 전환 후 방역이 위기에 놓였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날 특별방역점검회의에는 김부겸 국무총리, 홍남기 경제부총리, 유은혜 사회부총리,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 전해철 행정안전부 장관, 구윤철 국무조정실장, 김강립 식품의약품안전처장, 정은경 질병관리청장 등이 참석한다.
정부는 일상회복을 중단하는 ‘비상계획’의 발동은 고려하지 않되,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 확대에 무게를 두고 대책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방역패스 유효기간을 6개월로 설정할지 여부도 함께 거론된다. 유효기간이 설정되면 이후 방역패스를 계속 사용하려면 다시 백신을 접종해야 하기에 사실상 추가접종을 의무화하는 조치가 된다.
단계적 일상회복 과정에서 확진자가 속출하고 있어 의료대응체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급선무인 만큼 이와 관련한 병상 확보 대책 중 하나로 재택치료 확대 방안도 제시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당초 지난 26일 방역강화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그 전날 열린 일상회복지원위원회 논의 결과 의료계·자영업자와 관계부처간 이견이 좁혀지지 않으면서 발표가 연기됐다.
이 자리에서는 방역패스 적용 연령대·업종 확대 논의가 진행됐으나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반발이 거셌던 것으로 전해진다.
특별방역점검회의 종료 뒤 오후 5시에는 관계부처장들이 합동 브리핑을 열고 종합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브리핑에서는 비상계획 발동 여부와 방역 강화 대책이 다뤄진다.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11월 초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으로 방역체계 전환을 앞둔 22일 서울 종로구 광장시장에서 시민들이 식사를 하고 있다.한편 서울시는 연말까지 중대형 규모의 전통시장에 대해 강도 높은 특별방역을 실시할 예정이다. 시에 따르면 보유점포가 100개 이상이며 공동작업장을 갖고 있는 108개 중대형규모 전통시장에 ‘안심콜 출입명부’가 도입된다. 아울러 점포를 비우기가 힘든 상인을 위해 ‘찾아가는 선별검사소’를 40개시장에 설치한다. 서울시내에는 352개의 전통시장이 있으며 5만7000여개 점포에 약 11만명의 상인들이 종사하고 있다. ⓒ천지일보 2021.10.22](https://cdn.newscj.com/news/photo/202111/777240_796422_0026.jpg)
- 신규확진 3928명, 일요일 기준 최다… 사망자 56명(종합)
- 코로나19 발생현황, 신규확진 3928명… 위중증 환자 647명 최다
- 오늘부터 남아공 등 8개국서 출발 외국인 입국 막는다
- 오늘부터 손실보상 제외업종 ‘1% 대출’ 지원
- 코로나19 발생현황, 신규확진 3309명… 치명률 0.81%, 다시 상승세
- 정부, 모든 성인 ‘추가접종’ 오늘 발표… 전문가 “일상회복 잠시 중단 필요성”
- 위드 코로나 한달 서울 신규확진 1393명… 일요일 최다 기록
- 수도권 병상 대기자 1149명… 수도권 중환자 병상 가동률 86.6%
- 추가접종, 18~49세로 확대 내달 2일 사전예약… 방역패스, 6개월 유효기간
- 홍남기 “물가 12월 상승폭 둔화… 3대 불법행위 강력 대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