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통제관(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이 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코로나19 대응 비대면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제공: 연합뉴스)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통제관(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이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코로나19 대응 비대면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제공: 연합뉴스)

준중등증·중등증환자 병상 각 402·692개 확충

[천지일보=홍보영 기자]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급증에 대비해 행정명령을 통해 준중증 환자 치료병상 402개와 중등증 환자를 위한 감염병 전담병원 병상 692개를 확충하기로 했다.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통제관은 5일 정례브리핑에서 “오늘 중대본에서는 코로나 전담치료병상 확보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이같이 밝혔다.

현재 이날 기준으로 중환자 전담치료병상은 1111병상이 있다. 준중증 환자 치료병상은 455병상, 중등증 환자를 위한 감염병 전담병원은 1만 56병상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하루 평균 확진자 수를 약 5000명까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다.

정부는 확진자 증가에 대비해 이날부터 수도권의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현재 하루 확진자 7000명 발생까지 감당이 가능한 수준으로 추가적인 병상 확보를 위해 행정명령을 내린다.

이 통제관은 미리 행정명령을 내려 병상 확보를 하는 것에 대해 “행정명령을 내린다 하더라도 최소 4주가 걸리기 때문에 4주 전에는 미리 대응이 필요한 것”이라고 사유를 밝혔다.

우선 준중증 환자 치료병상은 수도권 상급종합병원 22개를 대상으로 허가병상의 1.5%인 총 402병상을 확충한다. 정부는 준중증 병상과 관련해 상태가 호전된 중환자나 중증으로 악화될 가능성이 높은 환자에 대해 고농도 산소치료와 집중 모니터링을 제공할 계획이다.

아울러 이번 행정명령을 통해 확충되는 준중증 병상과 중환자 병상의 연계를 확대해 중환자 병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중등증 환자를 위한 감염병 전담병원도 확충할 계획이다. 수도권내 코로나19를 치료하지 않고 200~299병상을 가진 병원·종합병원 61곳은 허가병상의 5% 이상인 총 692개를 중등증 환자를 위한 병상으로 마련해야한다.

정부는 예비 행정명령을 통해 확진자 수 추이와 병상 가동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적기에 필요 병상을 신속하게 사전에 확보토록 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수도권 상급종합병원 대상으로 허가병상의 1%인 약 254병상이 추가로 확보할 예정이다. 앞으로 필요시에는 하루 약 1만 명가량의 환자가 발생한다 하더라도 감당 가능한 수준으로 준비할 예정이다.

행정명령이 이날 발령됨에 따라 해당 의료기관에서는 4주 이내에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시설을 마련해야 된다.

이 통제관은 “어려운 가운데서도 전담병상을 지원하고 환자 치료에 전념하고 있는 의료기관, 의료인들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덧붙였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