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안보 이슈 ‘조기경보관’ 역할”
[천지일보=김성완 기자] 외교부에 공급망 등 경제안보 문제 실무를 총괄할 태스크포스(TF)가 마련됐다. 갈수록 패권화하는 공급망 재편 이슈에 대응하기 위한 차원이다.
4일 외교부는 지난 1일부터 양자경제외교국 산하에 경제안보TF가 신설돼 활동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현재는 TF장을 맡은 김진동 양자경제외교국 심의관을 포함해 직원 6명이 참여하고 있으며, 향후 규모를 늘려나갈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TF는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하는 반도체·배터리·희토류 등 주요 산업 공급망 전략 재편, 최근 중국발 품귀 현상이 빚어지고 있는 요소수, 의료, 물류 분야 현안까지 다양한 경제안보 이슈를 조율한다.
외교부 당국자는 “전 세계 경제안보와 기타 새롭게 제기되는 이슈를 먼저 점검하는 조기 경보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공관 운영을 강화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외교부가 TF를 신설한 것은 미중 갈등 속 미국을 중심으로 중국 의존도가 높은 기존 공급망의 재편에 나서는 등의 움직임과 맞물려 최근 발생한 중국발(發) 요소수 대란이 발단이 된 것으로 보인다.
요소수 품귀현상을 포함해 반도체·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등의 공급망 문제가 자국 안보와 직결되는 상황에서 향후 국가 존립까지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인 만큼 신속한 대처가 필요했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앞서 우리 정부는 장관급 회의체인 ‘대외경제안보 전략회의’를 신설해 지난달 18일 첫 회의를 열고, 삼성전자 등 주요 반도체 기업에 대한 미국의 정보 제공 요청 문제 등을 논의하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