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즈니+, 한국 상륙 본격화
“국내 연합 OTT 결성해야”
[천지일보=손지아 기자] 오는 11월 12일 디즈니플러스(디즈니+)가 한국 서비스를 출시한다. 디즈니+의 등장으로 넷플릭스와 국내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인 웨이브, 왓챠, 티빙 등이 차지한 기존 OTT 시장 구도가 어떻게 변할지 주목된다. 정부는 연내 국내 OTT의 법적지위 문제를 해결하고 연합 OTT를 만들어 해외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디즈니+, KT·LGU+ 통해 상륙 준비 완료
디즈니+가 국내 두 통신사와 계약을 맺으면서 한국 진출을 본격화했다. 디즈니+는 LG유플러스와 IPTV·모바일 제휴를, KT와 모바일 제휴 계약을 체결했다. 두 통신사는 내달 12일 디즈니+의 국내 서비스 시작 시점에 맞춰 신규 무선 요금제를 출시한다. 데이터 무제한 혜택 등과 함께 디즈니, 픽사, 마블, 스타워즈, 내셔널지오그래픽, 스타 등 월트디즈니의 6개 핵심 브랜드 콘텐츠를 제공한다.
디즈니+는 디즈니, 픽사, 마블, 스타워즈, 내셔널지오그래픽, 스타 등 디즈니의 6개 핵심 브랜드들의 영화 및 TV 프로그램 콘텐츠를 제공하는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다. 오랜 기간 사랑받은 디즈니의 영화, TV 프로그램부터 월트디즈니 스튜디오의 최신작, 스타(Star) 브랜드를 통해 제공되는 ABC, 20세기 텔레비전, 20세기 스튜디오, 서치라이트 픽처스가 제작한 작품들까지 폭넓은 콘텐츠 라이브러리를 보유하고 있다. 이뿐 아니라 디즈니+는 향후 국내에서 제작하는 오리지널 콘텐츠도 선보일 예정이다.
특히 LG유플러스는 디즈니+를 LG유플러스 IPTV·모바일, LG헬로비전 케이블TV 서비스와 연동한다. U+tv는 IPTV 서비스 중 유일하게 디즈니+를 제공해 경쟁력 강화를 도모한다. 아울러 U+tv를 통한 디즈니+ 전용 리모컨을 제작한다. 고객들이 IPTV 메뉴를 통한 콘텐츠 탐색 과정 없이 어떤 화면에서도 디즈니+를 즉시 이용할 수 있도록 리모컨에 별도의 버튼을 구성할 예정이다.
디즈니+와 IPTV 제휴를 맺은 통신사는 지금까지는 LG유플러스가 유일한 상황이지만 KT도 향후 올레tv 서비스 제휴를 위해 다각적인 협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천지일보=박준성 기자]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제공: 국회) ⓒ천지일보 2021.10.5](https://cdn.newscj.com/news/photo/202110/764835_781365_0636.jpg)
◆국내 OTT, 각종 규제만 논의 중
한편 이 같은 상황이 국내 OTT에는 압박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다. 넷플릭스에 디즈니+까지 해외 사업자의 맹공이 예상되는 가운데 국내 OTT는 각종 규제의 대상으로 논의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OTT는 ‘동일서비스, 동일규제’ 원칙에 따라 관련 부처(방송통신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규제를 논의하고 있다. 그런데 부처 간 의견 차이로 원만하게 진행되지 않았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연내 부처 간 합의를 이뤄낼 예정이다. 지난 5일 진행된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은 OTT의 법적지위 문제에 대해 올해 내 부처 간 합의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국내 OTT가 힘을 합쳐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날 한 위원장은 국내 OTT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연합 OTT’를 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웨이브와 티빙, 왓챠 등 국내 연합 OTT를 결성해 해외에 진출해야 한다”며 “해외 진출을 위한 시장조사 비용도 확보했고 사업자들과 지속적으로 협의해나가겠다”고 밝혔다.
- ‘양다리 전략’ 디즈니+, LGU+이어 KT와도 손잡는다
- [국정감사] 한상혁 “OTT 법적지위 문제, 올해 안에 해결”
- [국정감사] ‘세금회피·수익분배·망사용료’ 넷플릭스의 삼중고(종합)
- LGU+, SNS 활용한 고객 소통으로 과기부 장관상 받아
- “아태지역 오리지널 확보 총력” 디즈니+, 콘텐츠 라인업 대공개
- [OTT 무한경쟁①]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으로 보는 ‘콘텐츠 전쟁’
- KT, 대학생 대상 ‘양자암호통신’ 신사업 공모전 개최
- KT 알파도 디즈니+ 잡았다… OTT 콘텐츠 유통 강화
- 티빙, 2022년부터 삼성전자 스마트TV서 서비스한다
- 티빙, 메신저 ‘라인’으로 일본·대만 등 아시아 시장 공략
- 일본·대만 진출 각 재는 티빙… “국내 OTT 연합은 아직”(종합)
- OTT음대협 “음저협, 형사고소 취하하고 협의하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