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소비자 물가가 5개월째 2%대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전기료와 우윳값에 이어 주요 공공요금 도미노 인상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26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원료인 LNG 가격이 빠르게 오르고 있어 11월 도시가스 요금 인상 요구를 기획재정부에 전달했다. 사진은 이날 오후 서울 성동구 뚝섬로 인근 주택가에 도시가스 계량기가 설치되어 있는 모습.](https://cdn.newscj.com/news/photo/202109/761190_777115_5247.jpg)
기재부 ‘공공요금 동결 방침’과 상이
“연료비 인상 따른 공공기관 부담 누적 때문”
[천지일보=이우혁 기자] 산업통상자원부가 연내 도시가스 요금 인상에 대해 “다시 협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전날 기획재정부는 공공요금을 동결할 것이라고 밝힌 것과는 상반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3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에너지 현안 정례 백브리핑에서 “9월분 도시가스 요금은 물가 관리 차원에서 동결됐지만, 원료비 인상에 따른 압박이 누적되고 있어 적절한 시점에 요금 인상에 대해 다시 협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올해 안에 요금이 인상될 가능성에 대해선 “천연가스 가격이 빠르게 오르고 있어 가스공사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인지 등을 보면서 인상 여부를 논의할 것”이라며 “배제하고 있지 않다”고 덧붙였다.
이는 전날 기획재정부가 물가 안정을 위해 가스요금을 비롯한 공공요금을 연말까지 최대한 동결하는 것이 기본 원칙으로 한다고 밝힌 것과는 반대되는 의견이다.
산업부 측은 물가 상승을 억제하려는 기획부의 입장은 이해하지만, 가스공사의 부채 누적이 지속되면 오히려 적자에 대한 이자 비용이 늘어나는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가스공사가 떠안은 연료비 미수금은 연말까지 1조 500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아울러 4분기에 인상이 결정된 전기요금도, 추가로 인상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지난해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위축으로 공공요금 인상이 줄줄이 동결됐지만, 유가 및 천연가스 등 원재료 가격이 폭등해 공공기관에 누적된 손실이 한계상황까지 치달았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산업부는 오는 11월 도시가스 요금을 인상하겠다는 기획서를 기재부에 전달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