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뉴시스)
(출처: 뉴시스)

코로나19 극복 위해 역대 최대 규모 예상

文정부 출범 첫해보다 200조원 이상 증가

한은, 2분기 경제 성장률 잠정 집계 발표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정부가 이달 31일 내년 예산안을 발표한다. 예산안은 세입과 세출 등 내년 나라살림에 대한 일종의 청사진이다.

예산 규모는 올해에 비해 8% 이상 늘어 사상 첫 600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대응을 위해 문재인 정부의 마지막 예산안을 역대 최대 규모로 꾸릴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당정은 이 같은 내용의 2022년도 예산안을 막판 조율하고 있다. 정부가 내년 예산을 600조원 이상으로 확정할 경우 문재인 정부의 예산은 출범 첫해인 2017년(400조 5000억원)에 비해 약 200조원이 늘어나게 된다.

민주당 박완주 정책위의장은 지난 24일 당정 협의 후 브리핑에서 “올해 본예산과 추경을 모두 합하면 604조 9000억원”이라면서 “정부가 (내년 예산을) 604조원 전후로 편성했을 것”이라고 예고한 바 있다.

당정은 소상공인 손실보상과 청년종합대책, 탄소중립, 백신·방역 예산 등에 방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당초 내년 예산 증가율을 6, 7%대로 낮추려고 했다. 본예산 증가율이 2019년 9.5%, 2020년 9.1%에 이어 올해 8.9%였던 점을 감안해 증가 속도를 조절하려 한 것이다. 하지만 코로나19 4차 대유행 대응과 경기 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내년까지 확장재정이 필요하다는 청와대와 여당의 방침에 따라 지출 규모를 확대한 것으로 보인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2022년 예산안 편성 및 추석민생대책 당정협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출처: 뉴시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2022년 예산안 편성 및 추석민생대책 당정협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출처: 뉴시스)

하지만 코로나19 이후 국가채무도 급격히 불어나고 있다. 지난해 국가채무는 846조 9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8조원가량 늘었다. 이 추세라면 올해 말까지는 964조원으로 치솟고 내년 말에는 100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관측된다.

정부는 내년도 예산안을 내달 3일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한편 한국은행은 다음 달 2일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포함한 ‘2분기 국민소득(잠정치)’을 내놓는다.

분기별 성장률은 코로나19 발생과 함께 지난해 1분기(-1.3%)와 2분기(-3.2%) 두 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한 뒤 3분기(2.1%), 4분기(1.2%)에 이어 올해 1분기(1.7%)까지 세 분기 연속 반등했다.

앞서 지난달 27일 발표된 2분기 성장률 속보치는 0.7%였다. 코로나 4차 대유행은 3분기에 시작됐기 때문에, 2분기까지는 수출 호조와 설비투자 확대, 내수 회복 등에 힘입어 성장세가 이어졌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