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카드 본사 전경 (제공: 신한카드) ⓒ천지일보DB
신한카드 본사 전경 (제공: 신한카드) ⓒ천지일보DB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신한카드(대표 임영진)가 고연령자 맞춤형 특화 신용평가 모델을 개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기반 포용 금융 인프라를 대폭 강화한다.

신한카드는 베이비 부머 세대(55~63년)들을 대상으로 고연령자 신용평가 모형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 신용평가 모델은 이달부터 신한카드의 신용평가 시스템에 적용해, 60·70대 고객층에 전면 반영된다.

이번 개발은 고령화 사회 가속화에 따른 패러다임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추진됐다. 신한카드의 60대 이상 고연령자 비중은 2021년 21.4%에서 2026년 30%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기 때문이다.

신한카드는 고연령 고객 고유의 특성 파악을 통한 정교한 신용평가 모형을 개발 완료해 고령화 사회 가속화에 따른 패러다임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2025년 국내 고령인구가 20.3%에 이르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고, 베이비부머 세대가 60대로 진입하면서 고연령층의 유입이 빠르게 확대될 것을 대비해 약 1년여간의 개발 기간을 거쳐 모델의 완성도를 높였다.

신한카드는 자사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기존 신용평가 체계에서 불이익을 받는 금융 소외계층인 고령층에 대한 포용 방안으로 특화 모형을 개발했다. 연금수급정보, 자영업·전문직종 종사 여부 등 경제활동정보 및 고연령층 고유의 라이프스타일이 반영된 매출정보와 카드상품 이용정보를 반영해 고객의 상환 여력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구조다.

신한카드 관계자는 “고령층의 금융 니즈를 충족하고 다양한 금융기회를 제공하는 포용금융 차원에서 이번 베이버 부머 특화 신용평가 모델을 개발했다”며 “신한금융 차원에서 추진하는 인구 구조 변화 대응전략에 발맞춰 향후 세대별 맞춤형 신용평가 및 리스크관리 모델 개발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