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박준성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청와대 본관 집무실에서 ‘국민청원’ 도입 4주년을 맞아 국민청원에 직접 답변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천지일보 2021.8.19
[천지일보=박준성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청와대 본관 집무실에서 ‘국민청원’ 도입 4주년을 맞아 국민청원에 직접 답변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천지일보 2021.8.19

박수현 수석 SNS로 전해

“개량백신 필요한 상황 올수도”

[천지일보=김성완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내년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예산과 관련해 “백신이 남아돌지언정 초반부터 많은 물량을 확보하는 충분한 예산이 배정돼야 한다”고 말했다고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21일 밝혔다.

박 수석은 이날 ‘브리핑에 없는 대통령 이야기’라는 제목의 SNS 글을 통해 당정청이 1조 5천억원으로 편성했던 백신구입 예산을 2조 5천억원으로 증액하기로 한 데 대한 지난 13일 예산안 중간보고 당시 문 대통령의 지시를 요약해 전했다.

문 대통령은 “올해 연말까지의 백신 물량이 충분히 확보되었기 때문에 상당 부분은 내년으로 이월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제하에 내년 예산을 편성한 것 같은데, 만약 새로운 변이가 나타나 기존 백신은 무용지물이 되고 ‘개량백신’이 필요한 상황이 된다고 예상하면 이 정도 예산으로는 감당 못 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또 “설령 백신이 남아서 타국과 스와프(교환)를 하더라도 이제는 다르게 준비해야 한다”며 “추경으로 백신을 확보하려고 해도 다른 나라가 백신을 선점해서 구할 수가 없다면 아무 소용이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다른 나라들이 백신에 선(先)투자하는 것은 설사 투자한 백신 개발이 실패해 투자한 돈을 다 떼일 수도 있다는 각오로 백신을 확보하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 20일 청와대 참모들과의 티타임에서는 “백신 확보는 기존의 관점을 뛰어넘어야 한다. 선진국이 자국민 접종량보다 몇 배나 되는 백신을 확보하는 것은 평시의 관점을 뛰어넘어 판단하기 때문”이라며 “만약 다른 변이와 진화된 개량백신이 나온다면 금년에서 이월된 기존 백신은 상대적으로 효과가 떨어지거나 접종에 제한적인 상황이 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특히 도입 시기의 중요성을 피력하고 “조기도입 계약을 하되 만약 개량백신이 개발되면 즉시 기존계약을 개량백신 공급으로 자동 전환하도록 하는 계약이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박 수석은 이 같은 내용을 전하면서 백신 예산 증액에 대해 “물론 국회 심의과정이 남아있기는 하나,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내년 백신구입에 대해 당정청의 인식이 잘 조율된 결과”라고 평가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