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상의·전경련·경총, 코멘트
“기업 현실 고려한 수정사항 반영돼야”
[천지일보=이우혁 기자] 경제단체들이 정부가 5일 발표한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초안과 관련해 탄소중립은 환영하지만 지나친 감축목표와 불명확한 이행방안에 대해선 우려스럽다고 밝혔다.
정부가 이날 2050 탄소중립위원회를 통해 발표한 세 가지 시나리오 초안은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2540만톤, 1870만톤, 그리고 0으로 만드는 것이다.
이에 대해 김녹영 대한상공회의소 지속가능경영센터장은 “2050 탄소중립은 우리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며 기업들도 피할 수 없는 과제로 인식하고 있다”면서도 “업종별·규모별로 기업이 맞닥뜨린 상황과 여건이 달라 폭넓은 의견수렴을 통해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저적했다.
아울러 “이번 발표된 탄소중립 시나리오는 정부 부처와 전문가 중심으로 논의한 결과물이므로 앞으로의 의견수렴 및 논의과정에서 기업들의 의견이 적극 반영되길 기대한다”면서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도 탄소감축 기술개발에 힘쓰는 기업들에 대한 지원책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유환익 전국경제인연합회 기업정책실장은 “국제사회의 기후위기 대응 노력에 동참하고 기후변화로 인한 국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은 높이 평가하지만, 경제계는 산업 부문의 감축 목표가 지나치게 높다는 우려를 표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또 “초안에 따르면 세 가지 시나리오 모두에서 산업 부문은 오는 2050년까지 2018년 배출량 대비 약 80%를 감축해야 한다”면서 “제조업 위주의 산업구조를 가진 우리나라에서 무리한 목표를 설정할 경우, 일자리 감소와 우리나라 제품의 국제 경쟁력 저하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위원회가 감축 수단으로 제시한 탄소감축 기술이나 연료 전환 등의 실현 가능성도 현재로서는 불명확한 상황”이라고 부연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온실가스의 지속적인 감축에 따른 2050년 탄소중립에는 공감한다”면서도 “산업계는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에서 제시하고 있는 주요 감축수단으로 수소환원제철 기술, 친환경 연·원료 전환 등 기술이 2050년 내에 상용화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가 큰 상황”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제조업 중심의 우리나라 산업구조와 석탄화석 발전 의존도가 매우 높은 특성상 급격한 온실가스 배출 감축 정책이 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경우 우리나라 경제·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가 합리적인 수준으로 설정되기 위해서는 향후 이해관계자 의견수렴 과정에서 산업계 의견이 면밀하게 검토되어 시나리오에 적극 반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