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시의회 의장단(의장 이상영)이 5일 경남 진주혁신도시 국토안전관리원을 찾아 ‘교육센터 김천 이전논의’는 즉각 중단돼야 하며 당초 취지대로 진주에 존치돼야 함을 전달하고 있다. ⓒ천지일보 2021.2.5
진주시의회 의장단(의장 이상영)이 5일 경남 진주혁신도시 국토안전관리원을 찾아 ‘교육센터 김천 이전논의’는 즉각 중단돼야 하며 당초 취지대로 진주에 존치돼야 함을 전달하고 있다. ⓒ천지일보 2021.2.5

관리원, 이전안 국토부 제출

“‘지자체와 협의’ 규정 미이행”

“대정부 건의·범시민운동 전개”

[천지일보 진주=최혜인 기자] 경남 진주혁신도시 소재 국토안전관리원이 최근 교육센터를 타지역으로 이전한다는 계획안을 국토교통부에 제출한 가운데 진주시의회가 이전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진주시의회 의장단(의장 이상영)은 5일 진주혁신도시 국토안전관리원을 찾아 ‘교육센터 김천 이전논의’는 즉각 중단돼야 하며 당초 취지대로 진주에 존치돼야 함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과거 진주에 있던 경남도청이 부산으로 이전하고, 대동공업이 경북으로 이전한 후 지역경제가 위기를 맞았고 오랜 침체기를 겪고 있다”며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으로 겨우 재도약하는 시점에서 교육원을 이전한다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반발했다.

국토안전관리원은 지난해 12월 경남혁신도시인 진주로 이전한 한국시설안전공단과 김천시의 한국건설관리공사의 통합명칭이다.

국토부는 지난 2019년 ‘지속가능한 기반시설 안전강화 종합대책’을 발표하면서 통합기관 설립을 진행해왔다. 이어 ‘국토안전관리원법 제정안’이 시행되면서 양 기관의 통합이 이뤄졌다.

국토안전관리원에 속한 인재교육관은 한국시설안전공단의 지방이전 시 본사조직으로 이전 승인을 받았으며, 연간 4000여명의 교육생이 교육을 받으면서 인근 숙박시설·상권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해왔다.

문제는 국토안전관리원이 교육센터(구 인재교육관) 이전계획안을 지자체와 협의 없이 국토부에 제출하면서 발생했다. 이 계획안은 진주혁신도시의 교육센터를 본사 관련 건물로 활용하는 대신 폐지된 김천의 한국건설관리공사 자리에 교육센터를 이전하는 방안을 담고 있다.

이날 이상영 의장은 “교육센터는 혁신도시에서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며 “이미 진주에 깊이 뿌리내린 소중한 자산”이라고 강조했다.

조현신 의회운영위원장도 “교육센터가 이전하면 식당·숙박 등 지역경제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게 돼 소상공인들의 반발도 만만치 않을 것”이라며 “진주시에서 통합청사 부지를 제공하되 교육센터는 진주시에 존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성관 경제복지위원장은 “과거 토지주택공사 통합 시에도 지자체 및 지역민 협의 절차가 빠져있어 반대했었다”며 “이번 일도 지자체와의 협의 절차상 하자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현욱 도시환경위원장은 “지난해 10월 교육센터를 진주 본사에 두기로 정했는데 불과 한 달 뒤 교육센터를 김천지사에 옮긴다고 한 것은 지역갈등을 부추기는 꼴”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박영수 국토안전관리원장은 “지방이전계획 변경안은 국토부 혁신도시계획과에서 검토 중”이라면서 “진주시 입장은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국토부에 충분히 전달했다. 안전관리원은 중립적 입장에서 균형발전위 결정에 따라야 한다”고 답변했다.

진주시의회 의장단은 조속히 대정부 건의문을 내고 대책 마련이 없을 시 범시민운동 등 다양한 방법을 강구할 방침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