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서 자유롭게 종교 활동을 할 수 있는가?' 라는 문항에 응답한 14,052명 중 13,993명(99.6%)이 북한에서는 종교 활동을 자유롭게 할 수 없다고 응답했다. (제공: ㈔북한인권정보센터)
'북한에서 자유롭게 종교 활동을 할 수 있는가?' 라는 문항에 응답한 14,052명 중 13,993명(99.6%)이 북한에서는 종교 활동을 자유롭게 할 수 없다고 응답했다. (제공: ㈔북한인권정보센터)

북한인권정보센터, 2020북한종교자유백서 

 [천지일보=최윤옥 인턴기자] 최근 3년간 북한 내 종교의 자유가 전혀 보장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인권정보센터(NKDB)가 지난달 30일 발표한 ‘2020북한종교자유백서’ 내용에 따르면 종교자유 인식 수준을 묻는 설문에 조사자 1만 4052명 중 1만 3993명(99.6%)이 ‘북한에서는 종교 활동을 자유롭게 할 수 없다’고 응답했다.

이는 북한에서의 종교 활동이 현재까지 변함없이 허용되지 않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어 ‘북한 내에서 평양이 아닌 지방에 당국이 인정하는 합법적인 가정예배 처소가 있냐’는 질문에는 응답자 1만 4270명 중 1만 4075명(98.6%)이 ‘그런 장소는 없다’고 응답했다.

예배 장소가 있다는 응답은 184명(1.3%)에 그쳤다. 그러나 이들도 “‘가정예배 처소가 있다’는 인식만 갖고 있을 뿐 실제로 목격한 사실은 없다”고 답했다.

특히 최근 북한에 성경 유입이 많아지면서 그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2000년 이전 탈북한 북한이탈주민 중 성경을 본 경험자는 단 16명에 불과했지만, 2000년 이후 탈북을 한 북한이탈주민 중 성경을 본 적이 있는 사람은 559명에 달했다

비밀종교 참가 경험 여부에 대해서는 북한이탈주민 중 1.2%에 해당되는 168명의 응답자가 ‘북한에서 종교 활동에 몰래 참가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북한인권정보센터는 “168명의 응답자 중 159명은 2001년 이후 탈북한 주민들이기 때문에 2001년 이후 북한 지역에서 비밀 종교 활동이 일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북한에서는 종교 활동에 대한 처벌 수준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에서 종교 활동 시 처벌받게 되는 수준을 묻는 결과, 북한 내에서 가장 높은 처벌인 정치범 수용소행이라는 응답은 6408명(46.7%)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교화소(한국의 교도소)행은 1467명(10.7%), 노동 단련형(한국의 사회봉사 명령제도)은 417명(3.0%) 순이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최윤옥 인턴기자 bar0077@newscj.com 다른 기사 보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