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천지일보(뉴스천지)

실용주의 리더십 효과 톡톡
한화·롯데 등과 대규모 빅딜
‘선택·집중’으로 조직 슬림화
사옥 재배치, 컬처혁신 선포
과제는 미래 먹거리 찾는 것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오는 11일이면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급성 심근경색으로 입원한 지 만 2년이 되는 날이다. 그동안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아버지 이건희 회장의 부재 속에 사실상 전면에 나서 그룹을 이끌어왔다.

이 회장의 공백으로 위기에 처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이는 기우였다. 삼성은 글로벌 경기 침체에도 빠르게 ‘이재용 체재’로 전환했다. 이 과정에서 이 부회장의 실용주의 리더십이 두각을 나타냈다. 이재용 부회장 체재하의 삼성은 한마디로 실용주의 원칙에 입각한 선택과 집중이었다.

지난 2년간 삼성은 2013년 에버랜드의 제일모직 패션부문 양수를 비롯해 한화와의 초대형 빅딜 등 10여건의 크고 작은 합병·인수·매각 건을 통해 조직을 정리했다. 시너지 효과가 떨어지거나 수익성이 낮은 사업을 과감히 정리하고 핵심사업에 집중하는 모습에서 이 부회장의 실용주의 원칙을 엿볼 수 있다.

또한 삼성은 2014년 11월 한화와의 방산 계열사 매각 빅딜, 이듬해 롯데에 화학사업 관련 계열사를 모두 매각하는 등 계속된 빅딜을 통해 그룹 사이즈를 슬림화했다.

이 부회장은 지난해 5월 이건희 회장이 맡아오던 삼성생명공익재단·삼성문화재단 이사장에 선임, 그룹 승계를 사실상 공식화했다. 또 이 부회장은 지난해 9월 옛 제일모직과 옛 삼성물산을 합병해 탄생한 그룹 지주사격인 통합 삼성물산의 최대 주주에 올랐다.

그룹 내 소규모 재편도 이어졌다. 현재 삼성그룹은 전자와 금융을 두 축으로 건설과 중공업, 서비스 사업 등으로 사업을 정리하고 있다.

그룹의 상징이었던 삼성생명 태평로 사옥을 매각하고 삼성전자 주요 부서를 강남에서 수원으로 이전하는 등 사옥 재배치도 이뤄졌다. 금융 계열사는 서초동 사옥으로 이전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다.

특히 삼성은 보유하고 있던 전용기 3대와 헬기 6대를 운영비 대비 효율성의 떨어진다고 판단, 대한항공에 모두 매각했다.

또 권위주의적인 조직문화를 타파하기 위해 기업 문화를 젊고 수평적인 조직문화로 바꾸기 위한 컬쳐혁신을 선포하기도 했다. 삼성은 다음 달까지 컬쳐혁신을 뒷받침하기 위한 직급 단순화, 수평적 호칭, 선발형 승격, 성과형 보상 등 글로벌 인사혁신 로드맵을 수립해 실행계획을 내놓을 예정이다.

현재 이 부회장의 남은 과제는 미래 먹거리 확보하는 것이다. 삼성은 현재 바이오와 반도체 등 스마트폰 사업을 이을 미래 먹거리에 과감한 투자를 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자동차 전장부품 사업을 신규 먹거리로 정하고 ‘전장사업팀’을 신설했다.

하지만 바이오와 자동차 전장사업은 현재 투자가 진행 중이어서 이 부회장의 혜안을 입증할 만한 가시적인 성과를 단기간에 내놓긴 어려운 상황이다.

몸집을 줄이고 과감한 체질 개선을 시도하는 이재용 부회장 체재하의 삼성이 향후 어떻게 변화될지 주목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