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0만원 이상 291명 전년보다 2.8% 증가
[천지일보 전남=이지수 기자] 전라남도가 시행 중인 ‘돈이 되는 소득숲’을 조성한 임업인 가운데 고소득자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도는 브랜드 시책으로 추진 중인 ‘숲 속의 전남’ 만들기의 하나로 ‘돈이 되는 소득숲’을 조성한 임업인 가운데 2015년 5000만원 이상 고소득자(단체)가 291명으로 전년보다 2.8% 늘었다고 밝혔다. 이들의 총 소득액은 377억원이다.
품목별 고소득자는 떫은감 등 수실류 101명, 버섯류 68명, 관상산림식물류 65명, 산나물류 22명, 가공·유통분야 13명, 산림부산물류 11명 등이다.
이 가운데 1억원 이상의 소득을 올린 임업인은 95명으로 전체의 33%를 차지했다. 도내 최고 소득을 달성한 임업인 단체는 고흥웰빙취나물영농조합으로 지난해까지 2년 연속 50억원을 기록했다.
시군별로는 광양 46명, 영암 41명, 장흥 28명, 장성 25명, 순천과 구례 각 22명, 강진 14명, 고흥과 해남 13명, 화순 10명 등이다.
경영체별로는 임업인, 임업후계자, 독림가 등 개인이 249명이며 영농조합법인, 농어회사법인 등의 법인체는 42개소다. 이들 가운데 20~40대 청년 임업인은 71명으로 24%를 차지하고 있다.
전남도는 그동안 임산물의 연중 생산 기반이 취약해 노동·생산의 효율성이 낮았으나 최근 ‘돈이 되는 소득숲’ 조성에 따른 생산·유통의 규모화 및 집단화를 유도하는 집중 투자와 산지 가공·저장시설 확충, 직거래 활성화 등 다양한 정책을 펼쳤다. 여기에 임업인들의 끊임없는 연구 노력이 더해져 고소득자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윤병선 전남도 산림산업과장은 “고소득 임업인들의 사례는 다른 임업인과 귀촌·귀농자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주고 있다”며 “앞으로도 맞춤혀 전문가 자문과 ‘돈이 되는 소득숲’ 조성에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한편 전남지역 임산물 총 생산액은 수실류 등 25종 7993억원으로 전국에서 다섯 번째로 많은 규모다.
- 전남도, 3.1절 기념식 개최… 보훈단체 등 1500여명 참석
- 3.1절 기념사하는 이낙연 전남도지사
- 3.1절 기념식, 묵념하는 이낙연 전남도지사
- 전남창조경제혁신센터, 성과 창출 속도낸다
- [전남‐나주시] 친환경농업으로 유기농 1번지 전남 만들자
- [전남-함평군] 대한전문건설협회 전남도회 2년 연속 함평군 기관포상
- 전남도, 소형 어선 안전사고 예방… 어업인 생명 지킨다
- 전남도 “디자인박람회서 블랙이글스 에어쇼 즐기세요”
- 신천지 자원봉사단 “외국인 근로자들, 건강 챙기세요”
- 광주 대인예술야시장 토요상설 개장 ‘순항’
- 전남도, 초·중·고등학교에 무궁화 묘목 보급
- 2019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 대회시설 준비 박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