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질 1위에도 안전은 미흡”
“범죄 예방, 협력체계 강화 필요”

[천지일보 부산=이동현 기자] 김효정 부산시의원이 지난 21일 제332회 정례회 제2차 본회의에서 “범죄 발생 즉시 아동을 지킬 수 있는 안전 장치가 없어 홀로 귀가하는 아이들이 범죄에 무방비로 노출되고 있다”며 모든 초등학생에게 휴대용 안전기기를 보급하고 범죄 예방 교육과 기관 간 협력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5분 자유발언에서 “지난 9월 29일 저녁 6시 부산 강서구에서 학원을 마치고 혼자 집으로 가던 초등학교 5학년 아이를 자신의 차량으로 유인한 사건이 발생했다”며 “이처럼 최근 전국적으로 아동 대상 유괴·유인, 미수 사건이 잇따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전국적으로 올해 1월부터 8월까지만 319건, 하루 평균 1.3건의 유괴 위기 사건이 발생했다”며 “시는 지난 2024년 한국 아동 삶의 질 1위 도시라는 성과를 내고 있지만 아이의 생명과 직결된 범죄 예방 안전 대책은 미흡한 것이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시에서 추진중인 안심 태그 사업은 등·하교 알림용 기계에 불과하며 예산 편성조차 불투명한 상황”이라며 “자치경찰위원회 아동 안전 지킴이 사업은 등·하교 시간에 집중돼 늦은 오후나 저녁 시간에는 안전 공백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결국 현재는 범죄가 발생하고 나서 사후 대책에만 대응하고 있으며 범죄 발생 즉시 아동을 지킬 수 있는 안전 장치가 없다”며 “홀로 귀가하는 아이들이 범죄에 무방비로 노출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김 의원은 대안으로 ‘휴대용 안심벨’을 제시했다. 그는 “‘휴대용 안심벨’은 이미 서울에서 도입돼서 사용중”이라며 “기기 사용 시 100㏈이상의 경고음이 울리며 5초 안에 아이의 위치가 CCTV 통합관제센터로 전송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시도 전체 초등학생에게 ‘휴대용 안심벨’을 도입해 주길 바란다”며 “부산시도 행·재정적 계획을 조속히 마련해 사회적 약자까지 대상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부산시와 교육청은 실질적인 범죄 예방 대응 교육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며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는 유인물을 자체적으로 개발 보급하고 위기 상황 대처 요령에 대한 실습 훈련이 정기적으로 시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아동 범죄 예방을 위해 관계 기관 통합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며 “근처의 시민들이 위험 상황 시 현장에서 가장 신속하게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 [부산시의원-5분 자유발언] 강주택 “첨단 재생의료 산업 조기 상용화해야”
- 주택금융공사, 부산지역 청년예술인 지원 나선다
- 가덕도신공항 공기 84→106개월… 부산 “근거 없는 연장, 민심 외면”
- 부산시, 기항지를 넘어 ‘준모항’ 역할 넓혀
- 부산시, 에어버스 계열사 CTC R&D 오피스 유치… 미래항공 클러스터 본격화
- [부산시의원-5분 자유발언] 서국보 “충렬사 재정비, 이번엔 반드시 종합 정비해야”
- [부산시의원-5분 자유발언] 서지연 “실패조롱 정치 경고… 공항픽업존 필요”
- [부산시의원-5분 자유발언] 안재권 “부산 노인 전용 상담 콜센터 설치·강화 시급”
- [부산시의원-5분 자유발언] 양준모 “부산, 자치권·해양주권·기업친화로 독립해야”
- 부산근현대역사관, 시민 기록 흐름 보여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