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 울산=김가현 기자] 울산시가 시민이 살던 곳에서 의료·요양 등 돌봄서비스를 통합 지원받을 수 있는 민·관이 참여하는 협력체계 구축에 나선다.
울산시는 5일 오후 시청 본관 7층 상황실에서 행정부시장을 단장으로 발족한 ‘울산형 통합돌봄추진협의체’가 첫 회의를 개최하고 돌봄서비스 연계를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내년 3월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에 대비해 지역사회 내 통합돌봄을 시범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울산형 통합돌봄추진협의체는 시와 구군, 보건소 관계자, 건강보험공단 부울경본부장, 울산복지진흥원장, 울산시의사회장 등 의료·복지 분야 기관장, 관내대학 교수 등 총 30명으로 구성된다.
통합돌봄은 노쇠, 장애, 질병, 사고 등으로 돌봄이 필요한 대상자에게 보건의료, 건강관리, 장기요양, 일상생활돌봄, 주거 등 필요한 서비스를 지자체가 직접 또는 연계해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제도다. 울산시는 통합돌봄의 원활한 시행을 위해 지난달 31일 구군과 보건소 관계자, 복지진흥원, 건강보험공단 담당자 등과 회의를 갖고 통합돌봄 준비 상황을 점검했다.
울산시는 오는 11일 시와 구군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역량강화 교육을 실시해 통합돌봄 실행 기반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어 12월에는 관련 조례 제정과 함께 정책토론회를 개최해 전문가들과 울산형 통합돌봄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논의할 예정이다.
또 지난 7월 북구가 전담부서를 신설한 데 이어 내년 1월에는 시와 나머지 4개 구군이 통합돌봄 전담팀을 신설해 통합돌봄추진협의체 운영과 함께 지역계획 수립과 서비스 간 연계, 돌봄 제공기간에 대한 지원 등의 역할을 담당한다. 돌봄통합지원법이 시행되면 돌봄이 필요한 시민이 병원이나 시설에 머물지 않고도 살던 곳에서 충분한 돌몸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받는 체계가 구축될 전망이다.
안승대 울산시 행정부시장은 “울산은 고령 인구 중 독거노인 비중이 높아 지역 돌봄의 중요성이 크게 적용된다”며 “각 서비스가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민·관 협력체계를 확실히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