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 경보에도 상부 보고 누락
의원들 “직무유기” 질타 이어져
![[천지일보=박준성 기자] 이한울 충청북도 자연재난과 주무관이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서 열린 오송 지하차도 참사 진상규명과 재발방지 대책마련을 위한 국정조사 청문회에서 의원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천지일보 2025.09.23.](https://cdn.newscj.com/news/photo/202509/3321130_3398922_723.jpg)
[천지일보 충북=김홍진 기자] 국회 행정안전위원회가 23일 국회에서 오송 궁평2지하차도 참사와 관련한 국정조사 청문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증인으로 출석한 충북도청 주무관 A씨가 행복청 주무관 B씨로부터 세 차례 위험 통보 전화를 받고도 상부에 보고하지 않은 사실이 드러나 초동 대응 부실 논란이 일었다.
더불어민주당 이해식 의원(서울 강동구을)은 “B씨가 7분 넘는 통화에서 임시 제방 수위 상승, 주민 대피 필요, 교통 통제 필요성을 알렸는데도 A씨가 상부에 알리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에 A 주무관은 “청주시와 경찰에 이미 알렸다는 이야기를 듣고 현장 대응이 이뤄지는 줄 알았다”며 “초동 대응 기관이 대응하는 줄 알고 전파하지 않았다. 그 점에 대해 죄송하다”고 답했다.
더불어민주당 권칠승 의원(경기 화성병)은 “자연재난과는 비상 3단계 상황에서 상황을 총괄 관리하는 부서인데 평소 훈련과 매뉴얼 숙지를 통해 즉각 보고·전파가 기본 임무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을 것”이라며 직무 태만을 꼬집었다. 이에 A 주무관은 “그때는 긴급 상황이었고 청주시와 경찰에 연락이 됐다고 해서 우선 대응이 되는 줄 알았다”며 “내 임무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했던 것 같다”고 권 의원을 향해 사과했다.
기본소득당 용혜인 의원(비례대표)은 “보고를 했는데도 조치가 없었던 것과 보고조차 하지 않은 것은 책임의 무게가 전혀 다르다”며 위증 가능성까지 언급했다. 이에 A 주무관은 “당시 기억하는 대로 사실을 말씀드린 것”이라며 “위증은 결코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이날 청문회는 단순한 개인의 판단 착오가 아닌 재난 매뉴얼이 현장에서 작동하지 못한 구조적 문제를 드러냈다는 점에서 파장이 커지고 있다. 초기 대응의 공백과 책임 회피성 해명에 직무유기 논란이 더욱 확산되는 모습이다.
한편 오송 궁평2지하차도 참사는 지난 2023년 7월 집중호우로 급속한 침수가 발생해 차량이 고립되면서 14명이 숨진 사고다. 국회는 지난달 27일부터 참사 진상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목적으로 국정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충북도의 향후 대응과 유가족 지원, 책임자 규명 여부가 관건으로 떠오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