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스코어, 국내 주요 기업 AI 경쟁력 평가
삼성전자, 특허·논문 등 6개 부문 모두 ‘1위’
2위 네이버 ‘논문’ 강점… LG는 ‘특허’ 우수

[천지일보=김정필 기자] 삼성전자가 국내 기업 중 인공지능(AI) 관련 특허, 논문, 인력 등 전 부문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에 이어 네이버와 LG도 AI 관련한 지속적인 투자와 지원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이들 모두 구글·MS 등 글로벌 빅테크와 비교해서는 한참 뒤처진 수준이어서 범국가적 AI 경쟁력 제고가 시급한 상황이다.
10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해 국내 AI 특허와 논문 실적 상위 191개 기업의 AI 경쟁력을 종합 평가한 결과를 발표했다.
CEO스코어는 주요 기업의 ▲기술력(특허 피인용) ▲특허 활동(특허 등록 수) ▲학술 활동(세계 3대 AI 학회 논문 등재 수) ▲연구 영향력(논문 인용 수) ▲AI 기술 인력 ▲AI 전공 인력 등 총 6개 부문으로 나눠, 기업별 AI 경쟁력 평가를 진행했다. 항목별 1위 기업 수치를 100점으로 두고 나머지 기업과 비교하는 식으로 점수를 매겼다.
조사 결과 삼성전자는 6개 전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해 총점 600점으로 종합 1위에 올랐다. 삼성전자는 특허 등록 1079건, 특허 피인용 1347회, 논문 등재 59건, 논문 인용 315회, AI 기술 인력 5만 872명, AI 전공 인력 2만 8058명 등을 기록했다.
2위는 총점 162.9점으로 네이버가 차지했다. 네이버는 논문 등재(25건)와 인용(247회) 등 학술 부문에서 강점을 보이며 AI 연구 역량을 증명했다.

총점 155.9점을 받은 LG는 3위에 랭크됐다. LG는 특허(등록 400건, 피인용 529회)와 논문(19건) 모두에서 탄탄한 경쟁력을 입증했다. LG는 그룹 내 AI 연구를 총괄하는 LG AI연구원과 사업을 담당하는 LG전자의 역량을 합산해 평가했다.
이어 크래프톤(42.5점), KT(42.2점), 쿠팡(38.8점), 현대자동차(30.1점), 삼성SDS(28.8점), SK텔레콤(19.7점), 스트라드비전(19.2점) 등이 10위권 내에 이름을 올렸다.
업종별로 따로 경쟁력을 조사한 결과 제조업은 삼성전자, LG, 현대차 순이었고, 인터넷·플랫폼 업종은 네이버, 쿠팡이 선두권을 형성했다.
통신 3사는 KT, SK텔레콤에 비해 LG유플러스의 경쟁력이 떨어졌고, 소프트웨어·IT 업종에선 삼성SDS, 딥오토, 스트라드비전이 앞서 있었다.
게임사 중에서는 크래프톤 다음으로 엔씨소프트의 역량이 뛰어났다.

그러나 국내 기업들의 경쟁력은 글로벌 시장에서 여전히 크게 떨어지는 수준이었다.
세계 3대 AI 학회 논문 등재 수로 비교한 결과, 알파벳이 820건으로 1위였고 이어 마이크로소프트(414건). 메타(385건), 아마존(273건) 등 미국 빅테크가 상위권을 석권했다.
이어 바이트댄스(249건), 알리바바그룹(235건), 텐센트(210건), 화웨이(198건) 등으로 중국 업체들이 포진했다.
국내 업체 중에는 삼성전자가 59건으로 12위를 기록하는 데 그쳤고, 네이버(25건)와 LG(19건)가 각각 30위와 40위로 50위 내에 포함됐다.
3대 AI 학회 논문 인용 수로는 삼성전자(39위), 네이버(47위) 등 2곳만 50위권에 들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