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명여자대학교 약학부 배규운 교수 (제공: 숙명여대)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부 배규운 교수 (제공: 숙명여대)

[천지일보=김민희 기자]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부 배규운 교수 연구팀이 심근경색 후 혈관내피세포의 생존과 심장 회복을 돕는 단백질 ‘아르기닌 메틸전이효소 7(PRMT7)’의 역할을 규명했다고 12일 밝혔다.

연구팀은 심근경색이 소포체(ER) 스트레스를 과도하게 활성화해 혈관내피세포 기능 장애를 일으키고, 이로 인해 재혈관화와 심장 회복을 저해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연구팀은 PRMT7이 부족하면 세포자멸사가 촉진되고 혈관 형성이 억제됐지만, PRMT7을 과발현시키거나 이를 유도하는 약물로 치료하면 혈관내피세포 기능이 회복되고 소포체 스트레스가 완화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배 교수가 창업한 ㈜애니머스큐어와 성균관대 의과대학 강종순 교수와의 공동연구로 진행됐다. 한국연구재단 선도연구센터(MRC) 사업의 지원을 받았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실험 분자 의학’에 게재됐다.

배 교수는 “이번 공동연구가 심근경색을 포함한 혈관내피세포 개선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