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부총리, 의대생 간담회서 교육 정상화 강조
학생 목소리 반영한다지만 냉랭한 분위기 여전
편지 대독 의대생 “3058 동결, 사태 해결 초석”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2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의대교육 정상화를 위한 의과대학 학생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제공: 교육부)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2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의대교육 정상화를 위한 의과대학 학생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제공: 교육부)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의과대학 집단 휴학 사태가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의대생들과의 소통을 강화하며 사태 해결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하지만 실질적인 변화의 첫걸음이 되어야 할 의대생들의 수업 복귀는 여전히 미진한 상태다.

22일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서울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대한의료정책학교 주관 간담회에서 “의학교육의 발전을 위해 교수, 전문가, 학생이 함께 참여하는 ‘의학교육위원회’를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이 위원회를 통해 의대생들의 의견을 정책 결정 과정에 반영하겠다는 것이다.

이 부총리는 “정부와 의료계 간 오랜 불신이 이번 사태의 근본적 원인”이라는 학생들의 지적에 공감한다고 밝히며 “신뢰 회복이 이번 개혁의 핵심이며, 오늘 대화는 그 첫걸음”이라고 강조했다.

간담회에는 최안나 대한의료정책학교 교장, 박종혁 교감, 그리고 의대생 10여명이 참석했다. 현장에서 대독된 한 의대생의 편지에서는 “정부가 2026년 의대 모집 인원을 3058명으로 동결한 결단이 사태 해결의 초석”이라는 평가도 나왔다. 해당 학생은 “앞으로 교육부가 학생들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부총리는 의대 교육과 관련된 주요 우려 사항에 대해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설명했다. 그는 “24학번과 25학번을 분리해 교육하며, 24학번이 먼저 졸업할 수 있도록 다양한 모델을 마련했다”며 “KAMC(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와 협력해 각 대학이 적합한 모델을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고 밝혔다.

또한 임상실습과 관련해서는 “본과 3·4학년 학생들의 임상 교육도 지역 의료원 연계 및 실습기관 확대 등을 통해 차질 없이 진행할 수 있도록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국가고시와 전공의 모집 일정, 전문의 자격시험 등의 유연화도 이미 복지부와 협의가 완료됐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실에서 의대생들의 복귀 움직임은 뚜렷하지 않다. 교육부 관계자는 “의대 정원 동결 이후에도 출석률은 정체 상태를 보이고 있다”며 “학생들이 복귀한다면 대학과 함께 교육 결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를 주최한 최안나 교장은 “교육부가 소통에 적극적으로 나선 만큼 의대생들도 이 사태의 해결을 바라는 다양한 의견을 전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부총리는 간담회 후 기자들과 만나 “정부와 학생들 간의 신뢰 회복이 시작됐다”며 “학생들이 복귀해 정부 정책에 대해 자유롭게 제안할 수 있도록 문을 열어놓겠다”고 말했다.

정부의 태도 변화가 실제 교육 현장에서 어떤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 그리고 그것이 의대생들의 복귀로 이어질 수 있을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의학교육위원회의 구성과 운영, 그 실효성이 향후 국면 전환의 열쇠가 될 것으로 보인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