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정원 결정 분수령 전망

[천지일보=이시문 기자] 서울대학교 미복귀 의대생들의 등록 마감일인 2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앞에 한시민이 서 있다. 서울대 의대 학장단은 “27일 이후에는 모든 결정이 비가역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학생 보호 원칙이 유지되기 어려울 수 있다”며 복귀를 촉구했다. ⓒ천지일보 2025.03.27.
[천지일보=이시문 기자] 서울대학교 미복귀 의대생들의 등록 마감일인 2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앞에 한시민이 서 있다. 서울대 의대 학장단은 “27일 이후에는 모든 결정이 비가역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학생 보호 원칙이 유지되기 어려울 수 있다”며 복귀를 촉구했다. ⓒ천지일보 2025.03.27.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2026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 결정을 앞두고 전국 의과대학 총장들이 16일 오후 온라인 회의를 통해 최종 의견을 조율한다.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는 이날 오후 1시부터 줌(Zoom) 화상회의를 열어 의대 정원 확대 여부 및 의대 교육 정상화 방안을 집중 논의한다. 의총협 회장을 맡고 있는 양오봉 전북대학교 총장은 “내년 의대 정원 문제와 더불어 장기적인 교육 정상화 방안을 함께 논의해 총장들의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사실상 의대 정원 결정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정부는 앞서 오는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정원을 5058명으로 늘리겠다고 발표했지만, 지난 3월 말까지 의대생들이 수업에 복귀한다는 조건 하에 기존 정원인 3058명으로 조정할 수 있다고 유보적인 입장을 내놨다.

다만 의대생들은 올해 1학기에 등록은 했지만 수업 참여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정부와 총장단 모두 “올해는 학사유연화가 없다”고 못 박은 가운데, 의대 교육 현장의 정상화 여부가 주요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는 총장들의 이날 논의 결과를 반영해 최종 정원안을 확정할 방침이다. 그러나 발표 시점과 관련해 교육부 관계자는 “발표 일정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으며, 오늘은 발표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