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외 국가에 90일 관세 유예… 중국엔 최대 125% 부과
시진핑 “끝까지 싸운다”… 중국, 반미 연대 구축 시도

[천지일보=이우혁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국가들에 대해 관세를 유예하면서 중국과의 정면충돌을 위한 포석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이 본격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10일(현지시간) 해설기사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주요 교역국에는 90일간 상호관세 부과를 유예하고, 중국에 대해서는 최고 125%의 고율 관세를 적용한 조치가 중국을 고립시키기 위한 전략이라고 분석했다.
이 조치는 관세가 유예된 국가들과 새로운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이후 중국만을 집중적으로 압박하는 방식으로 무역전쟁을 전개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관세 부과 조치를 발표한 지 약 13시간 만에,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는 10%의 기본 관세만 부과하고, 상호관세는 90일간 유예한다고 밝혔다. 반면 중국에는 최대 125%의 고율관세를 적용해 사실상 ‘중국 때리기’를 본격화했다.
블룸버그는 “미국이 중국을 유일한 표적으로 삼음으로써 다른 국가들과의 협력을 유도하고 중국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려는 전략”이라고 분석했다.
이와 함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미국의 압박에 맞서 끝까지 싸우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며, 반미 연대를 확대하기 위한 외교전을 전개하고 있다. 실제로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은 8~9일 유럽연합(EU), 말레이시아 등과 무역 협력 방안을 논의하며 미국 관세에 대한 공동 대응을 모색했다.

시 주석은 ‘중앙주변공작회의’를 통해 “주변국들과 전략적 상호 신뢰를 강화해 운명공동체를 구축하겠다”는 외교 방침을 밝혔다. 이는 미국의 고립 전략에 맞서, 주변국과의 연대를 통해 대응하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중국을 겨냥한 미국의 압박은 경제 지표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날 위안화 가치는 지난 2007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중국 정부는 미국에 대해 “대화의 문은 열려 있으나, 상호 존중이 전제 조건”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중국을 대등한 국가로 인정해 달라는 요구로,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강경한 대중 노선과 충돌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시 주석이 트럼프 대통령과의 대결을 피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리서치 전문 기업 캐피털이코노믹스의 줄리언 에번스-프리처드 중국경제 책임자는 “중국은 미국의 관세 압박을 견딜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며 “관세로 인한 부담이 클수록 오히려 트럼프의 정치적 입지가 약화될 것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의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미중 간 갈등은 통상 문제를 넘어 군사 영역까지 확산되며, 양국 간 긴장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