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때리면 더 세게 맞는다”
中빼고 모두 10% 기본 적용
美, 유예기간 국가 맞춤 협상
철강·車 등 품목 관세는 유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국가별 상호관세가 부과되기 시작한지 13시간여만에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인 트루스소셜에 “미국의 상호관세에 대해 추가로 맞불 조치를 발표한 중국에 대해 관세를 125%로 즉시 인상한다”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중국을 뺀 75개 이상 국가에 대해 90일간 (국가별 상호관세를) 유예하며 10%의 기본관세만을 승인했고 이는 즉각 시행된다”고 전했다. 사진은 트럼프 대통령 (출처: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국가별 상호관세가 부과되기 시작한지 13시간여만에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인 트루스소셜에 “미국의 상호관세에 대해 추가로 맞불 조치를 발표한 중국에 대해 관세를 125%로 즉시 인상한다”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중국을 뺀 75개 이상 국가에 대해 90일간 (국가별 상호관세를) 유예하며 10%의 기본관세만을 승인했고 이는 즉각 시행된다”고 전했다. 사진은 트럼프 대통령 (출처: 연합뉴스)

[천지일보=방은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국가별 상호관세가 시작된 지 몇 시간 만에 중국에 대한 관세는 125%로 전격 올리는 반면 중국을 뺀 다른 국가에는 국가별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10%의 기본관세만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발표는 미국과 세계 대부분의 국가들 사이에 벌어졌던 전례 없는 무역전쟁을 미국과 중국의 대결로 좁히려는 시도로 보인다.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국가별 상호관세가 부과되기 시작한지 13시간여만에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인 트루스소셜에 “미국의 상호관세에 대해 추가로 맞불 조치를 발표한 중국에 대해 관세를 125%로 즉시 인상한다”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중국을 뺀 75개 이상 국가가 미국과 협상에 나섰으며 보복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면서 “이들 국가에 대해 90일간 (국가별 상호관세를) 유예하며 10%의 기본관세만을 승인했고 이는 즉각 시행된다”고 전했다. 다만 철강, 자동차 등에 대한 25% 품목별 관세는 그대로 유지된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전 세계 국가에 10% 기본관세를 부과하면서 한국을 비롯한 57개 무역파트너(56개국+유럽연합)에 국가별 상호관세를 부과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중국의 맞대응 조치에 대응해 전날 대중국 상호관세를 34%에서 84%(총 104%)로 올렸으며 이날 다시 21%포인트를 높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기자들에게 중국을 뺀 다른 국가에 대해 90일간 상호관세 유예 정책을 펼친 것에 대해 “사람들이 두려워했기 때문”이라고 전하면서도 “아직 끝난 것은 없다”고 덧붙였다. 이에 중국 당국은 관영매체를 통해 미중 무역전쟁에서 물러서지 않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10일 ‘중미 경제·무역 관계의 상생과 호혜라는 본질은 왜곡돼선 안 된다’라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미국의 경제적 괴롭힘 행위에 대해 강력한 대응 조치를 계속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조치가 결과적으로 중국을 겨냥하기 위한 것이냐는 질문에 “이것은 나쁜 행위자에 대한 것”이라면서 “한국, 일본, 베트남 등이 협상을 위해 미국을 접촉했다”는 점 등을 언급했다. 또 그는 무역 전쟁의 구도를 ‘전 세계 대 중국’으로 가져가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난 무역 전쟁이라고 부르지 않지만, 중국이 확전했고,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매우 용감하게 대응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무역 파트너들과 함께 중국에 대한 해법을 마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베선트 장관은 이어 “각 국가에 대한 해법은 맞춤형으로 할 텐데 그건 시간이 약간 걸릴 것이며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에) 직접 참여하고자 해서 90일 유예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면서 “미국이 지난 2일 상호관세를 발표한 이후 75개가 넘는 국가가 협상을 요청해 행정부가 압도됐다”며 “미국에 보복하지 않는 국가에는 지난 2일 발표한 국가별 상호관세율이 상한(ceiling)이며 이번 유예 발표를 통해 일시적으로 적용되는 10% 기본관세가 하한(floor)”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유예를 통해 얻고자 하는 바가 무엇이냐는 질문에는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사업을 예로 들면서 “한국, 일본, 대만이 알래스카 LNG 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대고 이 사업에서 채굴한 LNG 상당량을 구매하는데 관심을 보인다”고 말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도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SNS 게재 뒤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중국에 대한 관세는 125%로 인상될 것이며 이는 중국이 경솔하게 보복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라면서 “누구든 미국을 때릴 경우 트럼프 대통령은 더 세게 맞받아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언론은 세계의 다른 지역들이 중국에 더 가까워질 것이라고 말하려고 했지만, 사실 우리는 그 반대의 효과를 목격했다”며 “전 세계가 중국이 아니라 미국을 부르는 것은 그들이 우리 시장을 필요로 하기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응고지 오콘조-이웰라 세계무역기구(WTO) 사무총장은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전쟁이 세계 경제 전망을 심각하게 손상시킬 수 있다”고 말하면서 “지정학적 노선에 따른 세계 무역의 파편화 가능성”을 경고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에 대한 입장 변화를 밝히자 뉴욕증시 3대 지수는 기록적인 수준으로 급반등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962.86포인트(7.87%) 오른 4만 608.45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474.13포인트(9.52%) 급등한 5456.90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857.06포인트(12.16%) 급등한 1만 7124.97에 각각 마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로 인한 무역전쟁 격화로 미국을 비롯해 전 세계의 주식 시장은 연일 폭락하는 상황이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