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 남녀 1천명 설문조사
가계경제, 평균 7.7% 악화
71.9% “물가에 어려움 겪어”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천지일보 2024.08.26.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천지일보 2024.08.26.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국민 10명 중 7명은 가계 형편이 작년보다 나빠졌다고 인식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가 전국 19세 이상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71.5%는 가계경제가 1년 전보다 악화했다고 인식했다. 개선됐다는 응답은 28.5%였다.

가계경제가 악화 또는 개선됐다고 답한 응답자 26.4%가 20~30% 악화됐다고 평가했다. 뒤를 이어 ▲0∼10% 악화(23.2%) ▲10∼20% 악화(21.5%) ▲0∼10% 개선(18.5%) 순이었다.

구간별 중간값을 기준으로 계산한 결과 가계경제는 평균 7.7% 악화됐다.

가계경제 상황이 악화됐다고 답한 응답자들은 물가 상승(71.9%)으로 인해 가장 어려움을 느낀다고 답했다. 뒤를 이어 실질 소득 감소(11.9%), 일자리 부족 및 불안정(9.5%) 순이었다.

물가가 가장 크게 오른 부문으로 식료품·외식비(72.0%)가 가장 많이 꼽혔고 에너지 비용(11.0%), 주거비(4.5%), 공공요금(3.4%) 등 순이었다.

일자리·사업 안정성에 대해서는 ‘불안정하다’는 응답이 43.1%에 달했다. 안정적이라고 본 응답자는 26.5%, 보통이라고 본 응답자는 30.4%였다.

1년 후 가계경제 상황 전망을 묻는 질문에서는 ‘악화할 것’이라는 응답이 64.2%로 나타났다. 반면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은 35.8%에 불과했다.

소득 전망은 ‘감소’ 52.1%, ‘증가’ 47.9%였다. 지출 전망은 ‘증가’ 54.2%, ‘감소’ 45.8%로 집계됐다.

가장 필요한 물가 정책은 ▲생필품 가격 안정화(58.4%) ▲에너지 가격 안정(13.9%) ▲취약계층 선별 지원(9.7%) ▲소비 관련 세금 감면(7.9%) 순이었다. 일자리 분야에서는 ▲취약계층 맞춤형 일자리 지원(24.6%) ▲미래 유망산업 인력 양성 및 일자리 창출 지원(17.3%) ▲재취업·직무 전환 지원 강화(16.8%) ▲노동시장 유연성·공정성 확보(14.0%) 등 순이었다.

가계부채와 관련해선 ‘가계부채 증가 요인 해소 정책 강화’가 41.1%로 가장 많았고 ‘부동산 시장 안정화’가 31.6%, ‘취약계층 부채상환 지원’이 13.0% 등으로 조사됐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장기간의 경기침체와 고물가로 국민의 가계 형편이 매우 어려워지고 있다”며 “기업 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해 투자·고용 확대를 유도하고 먹거리 물가안정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21∼27일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온라인 패널조사 방식으로 이뤄졌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09%p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