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월세 비중 51.1%
강남 중심 고가 월세 계약 증가
50만원 이하 월세 계약이 80% 차지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에서 바라본 아파트들의 모습. 2025.2.13. (출처: 연합뉴스)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에서 바라본 아파트들의 모습. 2025.2.13. (출처: 연합뉴스)

[천지일보=이우혁 기자] 올해 1∼2월 서울 아파트 임대차 거래에서 월세 비중이 51.1%를 기록하며 전세(48.9%)를 앞질렀다. 또 강남권을 중심으로 월세 수요가 늘어나면서 보증금 1억원에 월세 600만원짜리 고가 계약도 등장하는 등 ‘전세의 월세화’ 현상이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10일 우리은행 WM영업전략부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올해 1~2월 서울 아파트 월세 거래량은 1만 6570건으로 전세 거래(1만 5865건)보다 705건 많았다. 전체 임대차 거래에서 월세 비중은 51.1%, 전세는 48.9%였다.

구별로 월세 거래가 가장 많은 지역은 송파구(1567건)였으며, 강남구(1234건)와 서초구(1098건)가 뒤를 이었다. 강남 3구는 학군 및 고급 주거 환경을 이유로 월세 수요가 지속 증가하는 추세다.

강남구에서는 올해 1월 1일 ‘디에치퍼스티어아이파크’ 전용 85㎡가 보증금 1억원, 월세 600만원에 거래됐다. 서초구 ‘아크로리버뷰신반포’ 전용 78.5㎡는 보증금 10억원, 월세 400만원에 계약됐으며, 송파구 ‘파크리오’ 전용 144.77㎡는 보증금 1억원, 월세 530만원에 거래됐다.

반면 도봉구(145건), 강북구(156건), 종로구(189건) 등에서는 월세 거래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서울 아파트 월세 계약 중 50만원 이하 월세 비중은 79.9%(1만 3245건)로 가장 많았다. 이는 보증금을 높여 월세 부담을 줄이는 ‘보증부 월세’ 계약이 많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월세 50만~100만원 구간은 14.8%(2456건), 100만~200만원 구간은 4.1%(679건)였으며, 300만원을 초과하는 고가 월세는 전체의 0.3%(56건)에 불과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기준금리 인하와 봄 이사철 영향으로 전세 매물이 줄어드는 가운데, 금융권의 전세대출 강화까지 더해지면서 서울 아파트의 월세화 현상은 더욱 가속화될 가능성이 크다”며 “이에 따라 월세 가격도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