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김예슬 기자] 2월 3주 천지일보 1면을 돌아보겠습니다.

월요일자입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을 둘러싼 헌법재판소의 공정성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법조계에서는 절차적 위법성이 다수 발견됐다는 지적과 함께 졸속 진행을 비판하고 있습니다. 최근 여론조사에서도 헌재 신뢰도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화요일자입니다.

서울대 재학생과 졸업생 500여명이 탄핵 반대 시국선언을 열고,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 선포가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였다고 주장했습니다. 참가자들은 계엄이 내란죄에 해당하지 않으며, 헌법 87조에 따른 정당한 조치라고 강조했습니다. 서울대 사회복지학과 21학번 김찬영 학생은 “우리는 특정 정치 세력을 대변하는 것이 아니다”며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이 자리에 섰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수요일자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40%대 중반을 유지하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코리아정보리서치가 실시한 조사에서 윤 대통령을 지지한다는 응답은 44.6%, 지지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53.1%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대구·경북(TK)과 부산·울산·경남(PK)에서 과반 이상의 지지를 유지했으며, 호남·제주에서도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목요일자입니다.

‘국회의원 체포 명단 메모 변경’과 ‘통화 시점·장소 진술 부정확’ 논란에 휩싸인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이 20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10차 변론에 증인으로 출석합니다. 그는 검찰·헌재·언론 인터뷰에서 각각 다른 진술을 해 신빙성 논란이 제기됐으며, 국정원 CCTV 기록과도 배치되는 내용이 확인됐습니다. 특히 ‘체포 명단’ 메모의 원본 여부를 두고 증언이 번복되면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금요일자입니다.

윤석열 대통령 측이 구속 기한 만료 후 기소가 이뤄졌다며 불법 구금을 주장하고 즉각 석방을 요구했습니다. 변호인단은 공수처가 신병 인치 절차 없이 검찰에 송치해 형사소송법을 위반했다고 주장했고, 검찰은 구속과 기소가 적법했다고 반박했습니다. 재판부는 이날 심문을 진행한 뒤 다음 공판준비기일을 내달 24일로 지정했습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