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산 원유에는 10% 관세 조정 가능성도
캐나다, 관세 부과에 맞대응 조치 발표 예정

[천지일보=최수아 기자] 미국 정부가 캐나다산 제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 방침을 공식 통보했다. 이에 따라 미국으로 수입되는 캐나다 제품에는 4일(현지시각)부터 25%의 관세가 부과되며 캐나다산 원유에는 10%의 관세가 적용된다.
뉴욕타임스(NYT)와 로이터통신 등은 1일 “미국 정부가 캐나다에 관세 부과를 공식 통보했다”고 보도했다. 캐나다 정부 관계자들 역시 NYT 등에 “미국이 4일부터 캐나다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날 캐나다 및 멕시코에 대한 25% 관세, 중국에 대한 10% 관세를 예고한 대로 이날부터 시행할 예정이라고 확인했다.
특히 미 석유 수입의 약 60%를 차지하는 캐나다산 원유에 대해서는 25%가 아닌 10%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그는 앞서 지난달 31일 기자회견에서 “원유가 마음에 걸린다”며 관세 조정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캐나다 정부 관계자는 “미국의 대(對)캐나다 관세가 캐나다가 이른바 좀비 마약으로 불리는 펜타닐이 미국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충분히 노력하고 있다고 트럼프 대통령이 판단할 때까지 유지될 것”이라고 캐나다 CBC 방송에 전했다.
펜타닐은 강력한 합성 마약성 진통제로, 중독성이 매우 높아 미국 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펜타닐 중독이 미국 내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으며, 중국에서 제조된 원료가 멕시코와 캐나다를 거쳐 유입되고 있다고 주장해왔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이날 오후 긴급 기자회견을 소집했으며 미국의 결정에 대한 맞대응 조치를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캐나다와 멕시코 정부도 미국에 대한 보복 관세 도입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NYT는 “캐나다와 멕시코 정부 관계자들은 보복 관세 계획을 논의하면서 북미 무역 전쟁으로 확산할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며 “예일대 예산 연구소 분석에 따르면 이번 관세로 인해 미국 가계의 연간 비용이 약 1300달러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한편 백악관은 미국이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를 오는 3월 1일까지 연기할 것이라는 로이터의 보도를 부인했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관세 부과가 협상용 수단이 아니냐”는 질문에 “아니다. 그것은 순전히 경제적인 것”이라고 답하며 강행 의지를 재확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