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캐나다·멕시코·중국에 관세 강행 재확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1일(현지 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AP/뉴시스) 2025.02.0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1일(현지 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AP/뉴시스) 2025.02.01.

[천지일보=최혜인 기자] 미국 백악관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캐나다·멕시코·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 방침을 강행할 것이라는 입장을 재확인하면서 뉴욕증시가 반전, 줄줄이 하락 마감했다.

3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37.47p(-0.75%) 내린 4만 4544.66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인 S&P500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0.64p(-0.50%) 하락한 6040.53,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도 54.31p(-0.28%) 내린 1만 9627.44에 각각 마감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내일(2월 1일)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25% 관세, 중국에 대한 10% 관세 부과를 시작하리라는 것을 확인(confirm)한다”며 기존의 대량 관세 부과 방침을 재확인했다.

백악관 발표 직후 뉴욕증시는 상승세를 반납하고 하락 반전했다. 시장에서는 보호무역 강화에 따른 글로벌 무역 긴장 고조를 우려하는 분위기다.

(Xinhua/뉴시스) NYSE에서 중개인들이 진지한 표정으로 일하고 있다.
(Xinhua/뉴시스) NYSE에서 중개인들이 진지한 표정으로 일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엑손모빌(-2.5%)과 셰브런(-4.6%)이 시장 시대에 못 미치는 실적 발표로 줄줄이 하락 마감했다. 특히 엔비디아는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발 충격 이후 변동성이 커지며 5.9% 급락했다.

주간 기준으로는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가 1.9% 하락했다. 지난달 27일 하루 3.1% 급락했던 나스닥 지수는 하락 폭을 일부 만회하며 주간 낙폭을 줄였다. S&P 500 지수는 1.1% 하락, 다우지수는 0.2% 상승하며 주간 거래를 마무리했다.

이날 발표된 지난해 12월 미국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상승률은 2.6%로 3개월 연속 반등했다. 그러나 전문가 예상 수준과 부합하면서 시장에 미친 영향은 제한적이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1일(현지 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AP/뉴시스) 2025.02.0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1일(현지 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AP/뉴시스) 2025.02.01.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