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입주량 11년만에 최저
전세사기·대출규제, 불확실성↑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서울 아파트의 3.3㎡당 평균 전셋값이 2400만원을 넘어섰다. 8일 KB부동산의 주택가격 통계에 따르면 지난 7월 서울 아파트 3.3㎡당 전세 평균 가격은 2417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7월에 비해 176만원 오른 것으로, 지난 2022년 12월 이후 1년 7개월 만에 평당 2400만원을 웃돌았다. 이날 서울 시내의 한 공인중개사무소에 매물정보가 게시돼 있다.ⓒ천지일보 2024.08.08.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서울 아파트의 3.3㎡당 평균 전셋값이 2400만원을 넘어섰다. 8일 KB부동산의 주택가격 통계에 따르면 지난 7월 서울 아파트 3.3㎡당 전세 평균 가격은 2417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7월에 비해 176만원 오른 것으로, 지난 2022년 12월 이후 1년 7개월 만에 평당 2400만원을 웃돌았다. 이날 서울 시내의 한 공인중개사무소에 매물정보가 게시돼 있다.ⓒ천지일보 2024.08.08.

[천지일보=이우혁 기자] 수도권 아파트 신규 입주 물량이 11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며 전월세 시장에 심각한 압박을 가하고 있다. 경기 침체와 고금리, 대출 규제 등 복합적 요인 속에서 전셋값 상승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임대차 시장 불안이 매매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올해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이 크게 줄어들며 전월세 시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5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올해 전국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은 23만 74가구로, 지난해 32만 5367가구보다 약 29.3% 감소했다.

이는 2014년 이후 11년 만에 가장 적은 수치다. 이 중 수도권 입주 물량도 10만 9179가구에 불과하다. 이에 수도권 입주 물량은 3년 연속 전국 물량의 절반을 밑돌며 주택 공급 부족 문제를 심화시키고 있다.

특히 경기도의 감소 폭이 두드러진다. 올해 경기도 아파트 입주 물량은 5만 9464가구로 전년(9만 9294가구)보다 약 40% 감소했다. 수도권에서도 주택 수요가 높은 경기도에서 신축 입주 물량이 급감하며 전셋값 상승 압력이 커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서울과 인천도 각각 2만 9388가구와 2만 327가구로 지난해 수준을 유지하거나 소폭 줄어든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입주 물량 감소와 함께 대출 규제, 전세 사기 등의 복합적 요인이 전월세 시장 불안을 심화시킬 것으로 보고 있다. 김성환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매매 수요가 감소하면서 전세 수요가 늘어나고 있지만, 신축 입주 물량 감소가 전셋값 상승을 부추길 가능성이 크다”며 “월세 전환이 진행 중이지만 기준금리 인하로 속도가 더뎌 전세시장 불안이 장기화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실제로 최근 몇 년간 수도권 입주 물량은 ▲2017년 33만 5272가구 ▲2018년 39만 7504가구 ▲2019년 34만 5289가구로 30만 가구를 꾸준히 넘었으나, 지난해 22만 21가구로 급감했다. 올해 역시 비슷한 수준으로, 수도권 전월세 시장에 큰 압박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전세 사기 여파도 전월세 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김효선 NH농협 부동산수석위원은 “전세 사기로 인한 보증금 미반환 문제가 지속되며 임차인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며 “수도권 전월세 상승세는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고, 지방은 지역별 수급 상황에 따라 차별화된 시장 흐름을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대출 규제를 강화하며 전세자금대출 관련 제약을 늘리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전세자금대출의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편입과 주택 소유자 변경 시 대출 제한 등 규제가 논의되고 있다. 이는 전세가격에 하방 압력을 줄 가능성도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시장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들은 전셋값 상승세가 장기화하면 매매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다. 수도권에서 시작된 주택 수급 불균형이 매매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다. 아울러 기준금리 인하가 예상되지만 전세자금대출 금리의 상승세와 맞물리면서 실수요자들의 부담은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김성환 부연구위원은 “올해도 수도권 입주 물량이 부족하고 연립·다세대 주택 등 비아파트 임대차 시장에서 보증금 문제와 공급 감소로 인한 불안정이 이어질 전망”이라며 “LH 등 공공사업자의 매입임대 정책이 일정 부분 안정판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전체적인 시장 흐름을 바꾸기엔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